미국 테마시황
입력 : 2025.04.01 08:37:01
제목 : 미국 테마시황
3/31(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경계감 속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엇갈린 모습. 포드(+3.19%), GM(+0.75%) 등 일부 자동차 테마가 반등에 성공했고, 유가 급등 속 엑슨 모빌(+1.02%), 셰브론(+0.72%) 등 정유, 다우(+1.63%) 등 화학 테마가 상승. 이 외 금 가격 사상 최고치 경신 등에 뉴몬트(+0.42%) 등 금(金) 테마가 상승했고, 애플(+1.94%) 등 모바일, 버라이즌(+0.96%) 등 통신, 뱅크오브아메리카(+1.16%) 등 은행, 비자(+2.22%) 등 카드, 메트라이프(+1.34%) 등 보험, 코카콜라(+1.78%) 등 음식료, 월마트(+3.10%) 등 유통, 페덱스(+0.86%) 등 물류, 듀크 에너지(+2.14%) 등 전력, 디어(+1.22%) 등 산업재 등의 테마가 상승.
반면, 엔비디아(-1.18%) 등 반도체, 마이크로소프트(-0.90%) 등 컴퓨터, 아마존(-1.28%), 메타(-0.07%) 등 인터넷 등 대형 기술주 관련 테마가 대부분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고, 국제유가 급등 속 델타 항공(-0.55%) 등 항공 테마가 하락. 이 외 오클로(-3.39%) 등 원자력, 아이온큐(-3.41%) 등 양자컴퓨팅, 리오틴토(-1.56%) 등 광산, 발라드 파워 시스템즈(-3.51%) 등 연료전지, 에어비앤비(-1.02%) 등 여행, 마라홀딩스(-7.78%) 등 가상화폐, 쿠팡(-1.92%) 등 전자상거래 등의 테마가 부진한 모습.
한편, 테슬라(-1.67%)가 1분기 인도량 감소 전망 등에 하락한 반면, 루시드 그룹(+4.31%), 리비안(+0.32%) 등은 상승하는 등 전기차 테마는 등락이 엇갈림.
반면, 엔비디아(-1.18%) 등 반도체, 마이크로소프트(-0.90%) 등 컴퓨터, 아마존(-1.28%), 메타(-0.07%) 등 인터넷 등 대형 기술주 관련 테마가 대부분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고, 국제유가 급등 속 델타 항공(-0.55%) 등 항공 테마가 하락. 이 외 오클로(-3.39%) 등 원자력, 아이온큐(-3.41%) 등 양자컴퓨팅, 리오틴토(-1.56%) 등 광산, 발라드 파워 시스템즈(-3.51%) 등 연료전지, 에어비앤비(-1.02%) 등 여행, 마라홀딩스(-7.78%) 등 가상화폐, 쿠팡(-1.92%) 등 전자상거래 등의 테마가 부진한 모습.
한편, 테슬라(-1.67%)가 1분기 인도량 감소 전망 등에 하락한 반면, 루시드 그룹(+4.31%), 리비안(+0.32%) 등은 상승하는 등 전기차 테마는 등락이 엇갈림.
관련 테마분석
2차전지
2차전지(Secondary battery)란 한 번 쓰고 버리는 배터리가 아닌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를 의미함. 즉,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이며,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4대 핵심 소재로 구성. 2차전지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 모바일/휴대용 IT기기와 전기차/하이브리드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3-31 공매도 재개 및 美 전기차 업체 주가 하락 영향 등에 하락 |
☞2025-03-27 트럼프 대통령,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 부과 발표 소식 등에 하락 |
☞2025-03-26 구광모 LG그룹 회장, "배터리 그룹 주력 사업으로 성장" 발언 및 CO2 규제 효과로 유럽 전기차(BEV/PHEV) 판매 견조 분석 등에 상승(주도주 : 코이즈, 나라엠앤디, 디아이티, LG에너지솔루션) |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3-31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95%) 급락 및 공매도 우려 등에 하락 |
☞2025-03-28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07%) 급락 및 반도체 관세 우려, AI 거품론 부각 등에 하락 |
☞2025-03-27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3.27%) 급락 영향 등에 하락 |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 종합생산 메이커 및 대형 모듈 부품업체. 국제 자동차산업 동향, 경기활성화 여부, 환율 동향, 유가 동향 등에 민감한 종목군임. 일반적으로 경기가 호황기를 보일 경우,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 경우, 유가가 하락할 경우에 실적개선 기대감이 커지는 경향이 있음. 고용효과와 국민경제 파급효과가 큰 산업임. |
- 히스토리
☞2025-03-31 美 트럼프 행정부, 자동차 관세 부과에도 가격 동결 경고 등에 하락 |
☞2025-03-28 트럼프 車 25% 관세 부 과 발표 여파 지속 및 美 자동차 관련주 하락 영향 등에 하락 |
☞2025-03-27 트럼프 대통령,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 부과 발표 소식 등에 하락 |

항공/저가 항공사(LCC)
항공운송업 영위 종목군. 국내 대표 항공사(Full Service Carrier)로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있으며, 저가항공사(Low Cost Carrier)로는 진에어, 제주항공, 에어부산, 티웨이항공 등이 있음. 한편, 대한항공·아시아나 기업결합이 완료됨에 따라 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항공의 자회사로 편입. 항공/저가항공사의 실적과 주가는 무엇보다 항공수요(여객 및 화물 수요)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항공수요는 사회, 경제, 계절적 환경 변화에 따라 변동하는 특징이 있음. 이 밖에 항공기 구입에 따른 외화부채로 인해 환율 하락 수혜주로 분류되며, 연료비가 영업비용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유가 하락 수혜주로 분류되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3-07 봉준호 감독 영화 '미키17' 中 개봉 속 한한령 해제 기대감 및 中 경기 부양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주도주 : 티웨이홀딩스, 아시아나항공, AK홀딩스) |
☞2025-03-06 中 양회 경기 부양책 발표 및 한한령 해제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주도주 : 진에어, 한진칼, 아시아나항공, 대한항공) |
☞2025-02-20 中 한한령 해제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주도주 : 대한항공) |

정유
원유 수출입, 운송 및 저장과 석유제품, 화학제품 등을 생산하는 종목군. |
- 히스토리
☞2025-03-10 러시아 대형 정유소 시설 손상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S-Oil, SK이노베이션, GS)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증시요약(6)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2
이제 금 팔고 철강 살 때?...“유동성 옮겨갈 것”
-
3
코스피 웃고 코스닥 울고…지난해 상장사 영업익 ‘희비’
-
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5
“트럼프한테 속았나” 비트코인 채굴업계의 비명...지난 달 시총 25% 감소
-
6
‘백신 음모론자’ 보건복지부 장관에 美 제약주 ‘흔들’
-
7
스테이블코인 1위 ‘테더’ 트럼프 효과에 비트코인 보유량 11조원 넘어
-
8
국민연금 1분기에 네이버·이마트 사고 LCC 팔았다
-
9
'동남아 우버' 그랩, 카카오모빌 지분에 눈독
-
10
조주완 LG전자 CEO, 자사주 2500주 매수…“책임경영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