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에 상장된 비트코인 채굴 업체들의 시가총액이 지난 3월 한 달 동안 25% 감소했다. 이는 같은 기간 비트코인 가격이 12%가량 떨어진 것에 비해 두 배 넘는 하락 폭이다. 비트코인 가격 하락에 더해 채굴 비용도 늘어나면서 이들 기업이 수렁에 빠졌다는 지적이다.
1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는 JP모건 보고서를 인용해 미국에 상장한 14개 채굴업체 주가가 지난달 줄줄이 떨어지면서 시총 60억달러가량이 증발했다고 분석했다.
대장주 격인 마라홀딩스는 최근 한 달 새 14.94% 급락했고, 허트8의 주가도 6.69% 하락했다. 사이퍼마이닝과 캐난은 각각 39.71%, 33.8% 폭락했다.
JP모건은 올해 3월 들어 비트코인 채굴 난도가 상승하면서 수익성이 악화했다고 분석했다. JP모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이 업체들의 하루 채굴에 따른 보상 수익은 평균 4만7300달러로 전월 대비 13% 감소했다.
수익성이 떨어진 이유는 비트코인 채굴 비용이 늘어서다. 채굴이 더 어려워지고 전기요금 상승 때문에 비용이 예전보다 많이 발생했다는 얘기다.
금융서비스업체 캔어코드제뉴이티는 올해 비트코인 채굴에 드는 비용을 개당 2만6000~2만8000달러로 추산한다. 8만달러대인 현재 가격에 비춰보면 여전히 수익성은 있으나, 작년 8월부터 채굴 난도가 높아지고 경쟁이 심해지고 있다.
여기에 더해 지난달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을 돌연 철회하면서 채굴 업체들을 애먹게 했다. MS는 공급 과잉 가능성을 이유로 미국과 유럽 내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을 취소했는데, 이에 따라 수혜를 예상했던 비트팜스, 클린스파크, 코어사이언티픽, 허트8 등이 주가 하락 직격탄을 맞았다.
위기의 채굴 업체들은 수익성 다각화에 나섰다. 마라홀딩스는 미 텍사스 풍력발전소 인수를 통해 전기요금을 절감하고, AI 데이터센터 사업 확장을 통해 다각화를 추진 중이다. 또 비트코인 보유량을 늘리기 위해 최대 20억달러 규모 주식 공개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이 와중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일가는 비트코인 채굴 사업에 손을 뻗치고 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두 아들인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에릭 트럼프는 허트8과 협력해 새로운 채굴회사 '아메리칸 비트코인'을 설립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