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거래 급증하는데 ‘툭’하면 먹통”…금융권 전산장애 1위는 ‘이곳’
류영상 매경 디지털뉴스룸 기자(ifyouare@mk.co.kr)
입력 : 2025.05.20 08:57:19
입력 : 2025.05.20 08:57:19
장애 건수 은행업권 많고 피해금액은 증권업 커

모바일 등 비대면채널 비중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5년간 금융권에서 발생한 전산장애가 1700여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 금융권(은행·저축은행·보험·카드·증권)에서 최근 5년여간(2020년~올해 5월) 발생한 전산장애는 총 1763건에 장애 시간은 48만4628시간으로 집계됐다.
소비자 배상과 시스템 복구 비용 등을 합산한 피해 금액은 총 295억432만원에 달했다.
발생 원인별로는 프로그램 오류가 722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시스템·시설·설비장애 564건, 외부 요인으로 인한 장애 366건, 인적재해 106건 등 순이었다.
업권별로 보면 전산장애 발생이 가장 많은 곳은 은행업권 577건(21만6436시간)이었다.
발생 건수로는 카카오뱅크가 64건으로 가장 많았고, 장애 시간 기준으로는 우리은행이 6만7836시간으로 가장 길었다.
피해 금액은 증권업권(262억8293만원)이 대다수(89.1%)를 차지했다.
피해 규모가 가장 큰 사건도 2020년 키움증권의 프로그램 오류로 인한 전산장애(47억669만원)였다.
그 다음으로 2021년 미래에셋증권(39억1929만원), 2022년 한국투자증권(25억2630만원) 전산장애 등이었다.
금융권이 디지털전환에 속도를 내면서도 실제 보안이나 인프라 점검 등은 소홀히 하는 관행이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강민국 의원은 “금융권 전산장애 사고 급증은 결국 소비자의 잠재적 피해 가능성을 높인다”며 “금감원은 전산장애 다발 회사에 대한 IT 실태점검을 강화하고 관련 가이드라인 준수에 미흡한 회사에는 추가검사 및 제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미래에셋운용, ‘한국형 SCHD’ 코리아배당다우존스 ETF 신규 상장
-
2
사모펀드 운용사 지분을 매수한 美 운용사 ··· 상장 4년만에 주가 2배
-
3
‘갈 길 급한’ 케이뱅크, 세번째 IPO 도전 착수
-
4
와이씨, 200.88억원 규모 공급계약(반도체 검사장비) 체결
-
5
비트코인 부정적이던 JP모건, 결국 고객 비트코인 매수 허용
-
6
외국계 순매수,도 상위종목(코스닥) 금액기준
-
7
아이스크림에듀(289010) 소폭 상승세 +3.43%, 외국계 매수 유입
-
8
우림피티에스(101170) 소폭 상승세 +5.84%, 4거래일만에 반등
-
9
오후장★테마동향
-
10
압타머사이언스, 폐암 진단키트 인도 상용화 추진에 상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