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중국인이 가장 많네”...장기체류 외국인 45만명, 국적 살펴보니
이지안 기자(cup@mk.co.kr)
입력 : 2025.07.10 22:21:48
입력 : 2025.07.10 22:21:48

지난해 우리나라에 90일 넘게 머문 외국인 4명 중 1명은 중국 국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들의 입국 사유로는 ‘취업’ 비중이 가장 높았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국제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체류 기간 90일을 초과한 외국인 입국자는 45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2만9000명(6.0%) 감소한 수치다.
외국인 입국자 수는 2019년 43만8000명에서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 23만3000명까지 급감한 뒤, 팬데믹 해소 이후인 2022년부터 반등세를 보여 왔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경기 부진과 함께 비전문인력 입국자가 21.5% 줄면서, 취업비자(E9) 쿼터 확대에도 불구하고 취업 목적 입국자 수는 전년보다 약 9000명 감소한 16만4000명에 머물렀다. 3년 만의 감소 전환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2023년 외국인 입국자가 예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와 E9 비자 확대 조치가 실제로는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점이 감소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체류 자격별로는 취업 목적이 3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학·연수(21.9%), 단기 체류(16.1%), 영주·결혼이민(13.1%) 순이었다.
국적별 입국자 수는 중국이 11만2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베트남(8만8000명), 미국(2만3000명), 태국(2만1000명), 우즈베키스탄(1만7000명) 순으로 조사됐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삼성전자 빼고 주세요”…국장 몰려간 투자자들 ‘삼전 뺀 ETF’에 반했다
-
2
“삼성전자 13개 합친 규모라니”...엔비디아, 종가기준 시가 총액 4조달러 첫 돌파
-
3
월러 美연준이사 7월 금리인하 입장 재확인…"정치적인 것 아냐"
-
4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5
부글부글 끓는 날씨, 부들부들 떠는 엄마손…“가격표 보고 깜짝 놀랐어요”
-
6
뉴욕증시, 관세 약발 떨어져가는 트럼프…동반 강세 마감
-
7
트럼프 관세? 안믿어...美증시 또 사상 최고가, 엔비디아 4조달러 돌파 [월가월부]
-
8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9
울산경자청, 지식산업센터 건립 본격화…50개 입주공간 조성
-
10
스테이트스트리트 "글로벌 기관들, 상반기 위험선호 심리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