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썸·KFC·버거킹, 최대실적에도 가격인상…"소비자 외면" 비판

영업이익 증가율 KFC 469%·버거킹 60%·투썸 25% 정부, 외식업계 가격 인상 주시…"추가 대책 마련"
신선미

입력 : 2025.04.20 07:01:01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커피와 버거, 치킨 등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잇따라 메뉴 가격을 올리면서 소비자 부담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들 업체는 제반 비용 상승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보인다.

그러나 작년 최대 실적을 거둔 이들 업체가 자신의 배만 불리고, 비용 부담은 고스란히 소비자들에게 전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20일 외식업계에 따르면 디저트 카페 투썸플레이스는 지난달 26일 케이크와 커피, 음료 등 메뉴 58종의 가격을 평균 4.9% 올렸다.

이에 따라 대표 제품인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7천원에서 3만9천원으로 2천원(5.4%) 올랐고, 레귤러 사이즈 커피 제품 23종 가격은 200원씩 인상됐다.

투썸플레이스는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지난 2월 25일 외식업계 간담회를 열어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에 동참해달라고 요청한 지 한 달 만에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KFC, 지난 해 역대 최대 매출 기록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24일 KFC는 지난 해 연간 영업이익이 2023년보다 약 469% 증가한 164억 원으로 역대 최대라고 밝혔다.같은 기간 매출도 약 18% 늘어 역대 최대인 2천923억 원을 기록했다.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KFC 매장의 모습.2025.2.24 scape@yna.co.kr

KFC는 지난 8일 치킨, 버거 등 일부 메뉴 가격을 100∼300원 올렸다.

작년 6월 한 차례 가격을 올리고서 1년도 안 돼 또 가격 인상에 나선 것이다.

KFC는 홈페이지를 통해 가격 인상 사실을 알리면서도 인상 대상과 폭을 기재하지 않아, 소비자들은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버거킹은 올해 설 연휴를 하루 앞둔 지난 1월 24일 일부 제품 가격을 100원씩 인상했다.

이에 따라 대표 메뉴인 와퍼는 단품이 7천100원에서 7천200원으로 올랐다.

와퍼 세트 가격은 9천200원이다.



이들 3개 업체는 원자재 가격과 제반 비용 상승으로 불가피하게 메뉴 가격을 올렸다고 주장하면서 작년에 나란히 최대 실적을 냈다고 밝혔다.

투썸플레이스의 작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5천201억원과 327억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8.3%, 25.2% 증가했다.

KFC 코리아의 작년 영업이익은 164억원으로 469.1% 늘었고 매출은 17.7% 증가한 2천923억원이다.

버거킹 운영사인 BKR의 작년 매출은 7천927억원으로 6.4% 늘어났고 영업이익은 384억원으로 60.4% 증가했다.

이에 소비자들은 이들 업체의 가격 인상 배경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정수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사무총장은 연합뉴스에 "메뉴 가격 인상은 소비자들의 부담은 외면한 채 기업의 이익만을 우선시한 결정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박범수 농식품부 차관 주재 외식업계 간담회
[농림축산식품부 제공.재판매 및 DB금지]

정부는 외식업계의 가격 인상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정부는 업체들의 경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요 수입 식재료와 농산물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커피와 코코아 수입 부가가치세 10% 면세 조치를 연말까지 연장하고 외식업계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기업이 (정부) 지원만 받고 가격을 올리는 것은 불공정하다고 본다"며 "재무제표 등을 분석한 뒤 세부 대책을 더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su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20 11:1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