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제품 관세 혼란에 트럼프 직접 나서 "면제아니다" 진화 시도
당국자들 해명 이어 "안보관세 조사서 반도체·전자제품 들여다볼 것"'관세정책 후퇴' 논란에 "누구도 특히 최악 대우하는 中은 봐주지 않겠다"
김동현
입력 : 2025.04.14 05:27:24 I 수정 : 2025.04.14 10:25:38
입력 : 2025.04.14 05:27:24 I 수정 : 2025.04.14 10:25:38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관세 정책에 후퇴가 없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지난 금요일(4월 11일)에 발표한 것은 관세 예외(exception)가 아니다.
이들 제품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bucket)로 옮기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들여다볼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1일 대통령 각서에서 상호관세에서 제외되는 반도체 등 전자제품 품목을 구체적으로 명시했고, 관세 징수를 담당하는 세관국경보호국(CBP)이 같은 날 이를 공지했다.
이에 따라 반도체 등 전자제품은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125% 상호관세, 그리고 한국을 비롯한 나머지 국가에 부과한 상호관세(트럼프 대통령의 유예 조치로 7월 8일까지는 10% 기본관세만 적용)를 내지 않아도 된다.
다만 미국이 마약성 진통제인 펜타닐의 미국 유입 차단에 협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중국에 별도 행정명령을 통해 부과한 20% 관세는 여전히 적용받는다.
이를 두고 미국 언론과 업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 기조에서 한발 물러나 전자제품은 아예 관세에서 면제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으며, 민주당 등에서는 정책에 일관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자 관세를 담당하는 트럼프 행정부 당국자들은 이날 방송에 출연해 반도체 등 전자제품은 지난 2일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에서 제외될 뿐 앞으로 진행할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를 통해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반도체 등 국가 안보에 중요한 품목은 앞서 25% 관세를 부과한 철강이나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상호관세와 중첩되지 않는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관세 강행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다른 나라들이 우리를 상대로 이용한 비(非)금전적 관세 장벽 및 불공정한 무역수지와 관련해 누구도 봐주지 않겠다(Nobody is getting off the hook).
특히 우리를 최악으로 대우하는 중국은 봐주지 않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제품을 미국에서 만들어야 하며 우리는 다른 나라에 인질로 잡히지 않을 것이다.
특히 중국같이 미국민을 무시하기 위해 가진 모든 권력을 이용할 적대적인 교역국에 대해 그렇다"라고 강조했다.
bluekey@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증시요약(6)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2
관세 유예 시사에 자동차株 모처럼 ‘방긋’
-
3
한국가스공사, 3월 천연가스 판매량 335.6만톤, 전년동월대비 3.8% 감소
-
4
JTC, 24년(02월결산) 연결 영업이익 257.39억원
-
5
한국투자증권, AI 기반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출시
-
6
한투PE, 옥씨부인전 제작 콘텐트리중앙에 300억원 베팅
-
7
맨그룹 “시장 리스크로 하이일드 시장 내 분산 확대될 것”
-
8
하이젠알앤엠, 정부 연구과제 주관기관 선정…로봇 액추에이터 R&D 강화
-
9
美주식거래 플랫폼 위불, 375% 급등해 ‘불기둥’
-
10
HL홀딩스, 최대주주등 소유주식수 73,000주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