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이상 카드값 못낸 고령층, 2년새 16% 증가
이소연 기자(lee.soyeon2@mk.co.kr)
입력 : 2025.01.13 18:16:43
입력 : 2025.01.13 18:16:43
이강일 민주당 의원 ‘연령별 카드 연체 현황’ 분석
2022년 12월말 대비 작년 11월 전체 신용불량자 5% 증가
20·30대 연체자 줄었지만 50대 9%, 60대 이상 16% 늘어
2022년 12월말 대비 작년 11월 전체 신용불량자 5% 증가
20·30대 연체자 줄었지만 50대 9%, 60대 이상 16% 늘어
카드값을 내지 못하는 50대 이상 고령층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13일 금융감독원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청주 상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약 2년 새 3개월 이상 신용카드 대금을 연체한 신용유의자가 5.1% 증가했다. 2022년 12월 말 신용유의자는 53만8346명인데, 지난해 11월 말에는 56만5976명으로 늘었다.
신용유의자란 한국신용정보원에 등록된 이른바 ‘신용불량자’를 말한다. 신용카드 사용 정지 등 금융 생활에서 불이익을 받는다.
전체 신용유의자 증가세와 비교하면 50대와 60대 이상에서 늘어나는 폭이 크다. 60세 이상 신용유의자 수는 2022년 12월 말 10만5634명에서 지난해 11월말 기준 16.1%(12만2673명)가 늘었다. 같은 기간 50대는 9.4%, 40대는 3.0%가 각각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20대(-7.5%)와 30대(-0.7%)는 줄었다.
이런 배경에 대해 금융전문가는 “노령층은 일자리를 잃거나 조기 은퇴로 소득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저축은행, 캐피탈 등에서 대출이 어려워지자 카드론을 많이 받게 됐고, 자연스레 연체 규모도 늘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선 현금 등 유동성 자산이 부족한 노령층을 위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아파트 등 부동산 등을 활용해 노후생활비를 마련할 수 있는 제도 개선 등이 대안으로 제기된다. 지난해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60세 이상의 평균 자산(5억8251만원) 중 거주 중인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 실물자산(4억5241만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77.6%였다.
서정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60세 이상 소비자가 보유 부동산을 소득화할 수 있도록 세제 혜택 등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증시요약(6)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2
‘데이터센터 매출 부진’ ··· AMD 투매에 주가 급락
-
3
이도, 당진 염해농지 태양광 50㎿ 개발 인허가 획득
-
4
LG CNS도 못 녹인 공모주 한파 … 공모가 밑돌아
-
5
금리 떨어지자 A급 채권 인기…발행 규모 두배로
-
6
퍼시픽·과기공, 엔씨타워 품는다
-
7
디와이디, 바이오 전문가로 경영진 전면 교체…바이오헬스사업 본격화
-
8
[유가증권시장 공시] 두산로보틱스 / 신세계인터내셔날
-
9
"韓서 팔아 한몫 챙기자"… 놀이터 전락한 K코인시장
-
10
혹독한 '공모주 한파' LG CNS도 못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