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식품 '불닭 신화' 이면에 2교대 장시간·야간 근무 있었다

밀양 2공장 생산직, 주·야간 맞교대로 주 52시간 초과 근무 일상화주5일 연속 밤샘 근무 '건강권' 위협…사측 "수출물량 위한 한시적 조치"
김동민

입력 : 2025.08.03 09:00:04


'불닭 신화' 삼양식품
[연합뉴스 자료 사진]

(밀양=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불닭볶음면으로 세계인 입맛을 사로잡으며 수출 1조원을 달성한 삼양식품의 성공 이면에는 생산직 직원들의 노동력을 갈아 넣는 극심한 2교대 근무가 있던 것으로 파악됐다.

2010년대에 출시된 불닭볶음면은 화끈한 매운맛을 바탕으로 지난해 9월까지 국내외 누적 판매량 66억 개를 돌파한 삼양식품의 대표 제품이다.

3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불닭볶음면을 주로 제조하는 밀양 2공장 생산직 직원들은 주 5일 2교대 근무를 하고 있다.

식사와 휴게시간을 제외한 순수 근로 시간은 월∼목요일 10시간, 금요일 9시간 30분으로 주당 총근로시간이 약 49시간 30분에 달한다.

여기에 월 2∼3회 토요일 근무가 추가된다.

이 경우 주당 총근로시간이 58시간을 넘어 현행 주 52시간 근무제 기준을 위반하게 된다.

회사는 매월 초과근무 동의서를 받고 있지만, 이는 노동법의 허점을 악용한 꼼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문제는 이러한 2교대 근무로 밤샘 야간 근무가 계속 이어지는 점이다.

주간 조가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8시까지 근무하고 나면 야간 조가 오후 8시부터 다음 날 오전 7시 30분까지 근무를 이어간다.

야간에 근무하는 노동자들은 주 5일 동안 연속으로 밤을 새워 일해야 하는 구조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산업재해 사망 사고가 발생한 SPC삼립 제빵공장을 직접 찾아가 장시간 근로를 따져 물은 SPC보다 삼양식품의 야간 노동시간이 더 길다.

이 대통령은 당시 주 4일 오전·오후 7시 30분에 맞교대하는 방식으로 3조 2교대 근무한다는 SPC 경영진 설명에 "노동 강도가 너무 세서 밤에는 졸릴 것 같다"며 "일주일에 나흘을 밤 7시부터 새벽 7시까지 풀로 12시간씩 일한다는 것이 가능한 일인지 의문이 든다"고 지적한 바 있다.

주 4.5일 근무제 논의가 이어지고 있고, 야간근로 규제 강화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K-라면 신화를 일구어낸 글로벌 기업이 노동자들의 장시간 야간 노동에 의존하는 셈이다.

특히 삼양식품은 토요일 야간 근무자는 일요일 오전 퇴근 후 잠시 정비하다 이튿날 오전에 출근해야 하는 무리한 근무 일정을 반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직원들은 건강권 침해와 심각한 피로 누적을 호소하며 퇴사하거나 퇴사를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 직원은 "밤새워 연속해서 일하다 보니 피로가 누적돼 집중해도 새벽 3∼4시 무렵에는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것 같다"고 야간 연속 근무의 고충을 토로했다.

다른 직원은 "평생직장이라 여겼는데 밤낮이 바뀐 근무 환경에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없다 보니 언제까지 일할지 모르겠다"고 한탄했다.

한 퇴사자는 "자동화 공정이어서 업무 자체는 위험한 근로 환경이라고 볼 수 없지만, 개인 여가 시간이 거의 없을 정도로 2교대 장시간 근무여서 회사를 나왔다"고 전했다.

불닭볶음면
[삼양식품 홈페이지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이러한 2교대 장시간 근로는 관련법 위반 소지가 크다는 전문가 견해다.

노무법인 한수 소속 김나영 공인노무사는 "매월 직원에게 개별 동의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근로기준법에 따라 기본 40시간 근무 원칙에 연장근무 12시간을 더해 52시간까지 업무가 가능하다"며 "(58시간 이상 근무는)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근로 시간 특례 업종에 해당하지 않는 사업장에서 주 52시간 근무 준수를 위해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시행하거나 근본적으로 근무 구조를 바꿔 근로 시간을 줄이는 방법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특정 기간 근로 시간을 연장하는 대신 다른 기간의 근로 시간을 단축해 평균 주 40시간 근무를 맞추는 제도다.

민주노총 경남본부 역시 "오랜 투쟁 끝에 교대근무 환경이 일부 개선됐지만, 아직도 많은 기업이 장시간 노동에 기대고 있다"며 "기업 실적만 쫓지 말고 직원 건강과 권리를 우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야근과 교대근무 횟수 축소는 업계 전체가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삼양식품 측은 "수출물량을 맞추기 위해 한시적으로 토요일 특별연장근로를 시행 중이다"며 "밀양 2공장 가동이 정상화되면 특별연장근로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해명했다.

이어 "토요일 특별연장근로는 고용노동부 허가 후 시행하며, 1.5 배의 수당을 지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밀양 2공장은 2024년 6월 11일 준공돼 연면적 3만4천576㎡, 6개 라인에서 연간 8억3천만 개의 라면을 생산한다.

인근 1공장과 합산 시 연 15억8천만 개로 늘어난다.

이는 삼양식품 연간 수출 물량의 절반 수준이다.

imag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8.03 12:4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