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미 연준처럼 통화정책에 각계 의견 반영해야"
"사회적 합의 형성에 기여"…금융연구원 보고서
한지훈
입력 : 2025.08.03 12:00:03
입력 : 2025.08.03 12:00:0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한국은행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처럼 다양한 사회 구성원과 정례적이고 체계적인 소통 채널을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금융연구원 김현태 연구위원은 3일 보고서에서 "통화정책 방향성에 관한 사회적 합의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이같이 제안했다.
미 연준은 5년 주기로 중장기 통화정책 전략을 전면 재검토하는데, 이 과정에서 'Fed 리슨스(listens)'라는 이름의 행사를 열어 각계 각층의 의견을 모으고 반영한다.
이는 연준이 경제 구조 변화에 맞춰 통화정책 체계를 끊임없이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줄 뿐 아니라, 다양한 경제 주체들의 목소리를 아울러 정책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김 연구위원은 평가했다.
한편, 김 연구위원은 조만간 발표되는 연준의 새 프레임워크와 관련, "5년 전 채택된 유연한 평균물가목표제를 수정하거나 종전의 물가안정목표제로 회귀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앞으로는 인플레이션이 특정 임계점을 일정 기간 상회할 경우 즉시 통화 긴축을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 평균물가목표제는 물가가 목표 수준을 일정 기간 하회하는 경우 이 수준을 일정 기간 상회하는 것도 용인해 중장기 평균치를 목표 수준으로 수렴시키는 정책을 말한다.
김 연구위원은 "고용안정과 물가안정의 목표가 상충할 때 물가안정에 더 우선 순위를 부여하겠다고 공식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2%의 물가 목표를 변경할 가능성은 작다"고 덧붙였다.
hanjh@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지방경제 힘들다는데 뭘 믿고?”…증권가, 지방금융지주 목표가 올리는 이유
-
2
“집 경매 넘어가도, 낙찰가만 갚으면 빚 청산”…유한책임 주담대 은행서도 출시 추진
-
3
“車를 구독한다고?”…이 회사 유통산업 바꿔보겠다는데
-
4
[부고] 김재욱(LG일렉트릭 매니저)씨 모친상
-
5
‘대형 PEF 빠져도’…출자사업 콘테스트 여전히 각축전
-
6
관세협상서 소고기·쌀 지켰지만…검역 협의 숙제는(종합)
-
7
美 빅테크 호실적에도···주가는 따로 노네
-
8
美 고금리 속 리츠 양극화···오피스·호텔 죽고 헬스케어·타워 리츠 뜬다
-
9
IPO 강세장 이어가는 미국…피그마, 상장 이틀 만에 270% 급등
-
10
조직개편 코앞 두고... 금융위·금감원 막판 ‘조직 방어’ 총력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