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뒤엔 인구 4분의1토막”…이 나라, 무시무시한 전망 나왔다

강인선 기자(rkddls44@mk.co.kr)

입력 : 2025.07.15 11:31:18 I 수정 : 2025.07.15 11:39:38
인구·지역경제학 분야 권위자
모리 토모야 일본 교토대 교수 전망
“2120년 日 인구 현재 4분의 1 수준될 것”
22일 한미연 주최 세미나서 발표


일본 도쿄 시부야역. [사진 = 연합뉴스]
일본 인구가 초고령화로 100년 뒤에는 현재 인구 대비 4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5일 국내 인구 전문 민간 싱크탱크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하 한미연)은 모리 토모야 일본 교토대학교 경제연구소 교수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인구·지역경제학 분야의 권위자인 모리 교수는 인구 집적 이론 전문가로, 극심한 인구 감소로 일본의 지역 균형이 어떻게 붕괴할 것인지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제시했다. 그에 따르면 2120년 일본 인구는 현재 4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해 도쿄·오사카·나고야·후쿠오카 등 소수 대도시권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이 소멸할 것으로 예상된다.

모리 교수는 오는 22일 한미연이 고려대학교 도시연구원과 공동으로 주관하는 ‘줄어드는 인구, 달라지는 도시: 한일 지역 발전의 새로운 모색’ 세미나에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세미나에는 산업연구원 부원장을 지낸 김영수 (사)중소기업정책개발원 원장도 참석해 ‘한국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의 원인과 지역발전 방안’을 주제로 발제한다. 김 원장은 한국의 수도권 집중 현상을 심층 분석한다. 2015년 이후 고소득 전문직 일자리의 82.3%가 수도권에 집중되는 등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이러한 집중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구조적 원인과 해법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어 김세용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교수(前 경기주택도시공사 사장)을 좌장으로 하는 패널토론에서는 이영 한국조세연구원장, 이정환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교수, 차미숙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은정 경상북도 저출생여성정책 특별보좌관이 참여해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의 해소와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을 논의한다.

이인실 한미연 원장은 “한국보다 일찍이 인구감소와 지역소멸 문제를 겪고 있는 일본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국토균형발전의 방향을 모색하고 실효성 있는 인구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이번 세미나가 인구구조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지역발전 전략과 국토 정책 수립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세미나는 오는 22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서울 을지로 페럼타워 3층 페럼홀에서 진행되며, 한미연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등록 후 참석할 수 있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세미나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5 16:1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