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EU 브랜디에 보복관세…"EU, 전기차 분쟁 해결 의지 보여야"(종합2보)
최고 34.9% 반덤핑 관세…'판매 하한가 약속' 상당수 업체 면제EU "부당하고 근거 없는 조치" 반발…美관세 맞선 EU-中 공조 분위기에 악재
정성조
입력 : 2025.07.05 00:07:54
입력 : 2025.07.05 00:07:54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베이징·브뤼셀=연합뉴스) 정성조 정빛나 특파원 = 중국 정부가 유럽연합(EU)과의 무역 마찰 요인 중 하나였던 유럽산 브랜디에 대해 반덤핑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중국 상무부는 4일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가 상무부의 건의에 따라 7월 5일부터 EU에서 생산된 수입 브랜디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0L 용기에 포장된, 포도주를 증류해 얻은 증류주(통칭 브랜디)' 관련 업체에는 27.7∼34.9%의 보복 관세가 매겨진다.
관세 적용 기간은 5년이다.
일부 '예외' 조치도 발표됐다.
LVHM의 헤네시, 레미 쿠앵트로, 페르노리카 등 프랑스의 대형 코냑 생산업체에 대해서는 반덤핑 관세가 면제된다.
이들 업체가 중국 수출 시 일정 금액 이하로는 제품을 판매하지 않겠다는 일명 '최저 판매가'를 약속해서다.
중국 상무부는 "조사기관이 동의한 약속 조건에 따라 수출할 경우 반덤핑 관세를 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작년 10월부터 EU산 브랜디 생산업체에 임시로 부과됐던 잠정 관세 예치금은 환급하겠다고 밝혔다.
소급 적용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앞서 중국은 EU가 자국산 전기차 보조금에 대한 무역 조사를 벌이는 데 대응해 작년 1월 EU산 브랜디를 대상으로 반덤핑 조사를 개시했다.
이 조치로 직격탄을 맞게 된 프랑스는 반덤핑 조사 과정에서 중국 정부에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이 이날 높은 관세율 부과 결정을 내리면서도 주요 코냑 업체는 면제하고 소급 적용도 하지 않기로 한 것도 갈등 수위를 어느 정도 조절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도 "이번 사건에서 가격 약속을 받아들인 것은 다시 중국이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무역 마찰을 해결하려는 성의를 보여준 것"이라면서 "EU가 중국과 마주 보고 대화·소통을 강화하며 경제·무역 이견을 함께 해소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관영 중국중앙TV(CCTV) 계열의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은 중국이 유럽 기업 34곳이 제시한 가격 약속을 받아들였다고 설명한 뒤 "이 34개 기업이 중국에 수출하는 브랜디는 EU가 중국에 수출하는 브랜디의 절대다수를 차지한다"며 중국의 '선의'를 강조했다.
프랑스 코냑산업협회(BNIC)는 일부 관세 면제 조치 등에 대해 "덜 불리한 결과"라면서도 중국 시장 접근성 회복 노력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반응했다.
유럽 주류산업협회는 모든 반덤핑 관세를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중국 반덤핑 조사 결과 자체가 부당하다고 반발했다.
올로프 길 EU 무역담당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부당하며 관련한 국제 규범에도 부합하지 않기에 근거가 없다고 본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이어 "의심스러운 주장과 불충분한 증거에 기반해 매우 단기간에 조사하고 결론 내는 건 무역 구제 수단을 남용해온 중국의 우려스러운 행보의 일환"이라며 "향후 대응 조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국내 전기차 업체들의 과잉 생산과 저가 출혈 경쟁 속에 업계 전반의 수익성이 악화한 가운데 EU와의 협상이 장기간 이어지는 상황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날 중국 관영매체는 전기차 협상에서 'EU의 의지'가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은 "현재 중국과 EU 간 전기차 협상의 기술적인 부분은 이미 기본적으로 완료됐고, 마지막 고비만을 남겨두고 있다"며 "핵심은 EU가 문제 해결을 이끌 상응한 정치적 의지를 보여줄 수 있는지 여부"라고 했다.
위위안탄톈은 "전기차 사안에서 EU는 '유럽의 이익 수호'라는 기치를 내걸었으나 상응한 문제 해결 의지를 보여주지 못했다"며 "'자기 이익 수호'라는 정치적 포즈만 취하고 실무적으로 문제 해결을 하지 않는다면, 겉으로는 매우 강해 보이지만 현재 글로벌 무역 형세에서 실제 문제는 결코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올로프 길 대변인은 이날 '중국의 주요 브랜디 업체 관세 면제 조치에 따라 양측 간 전기차 가격 약정 협상에서 어떤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고 봐도 되느냐'는 질문에 "진행 중인 협상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겠다.
현재로선 두 가지 사안을 인과관계에 놓고 있지 않다"면서 "중국의 유감스러운 (반덤핑 관세) 행위에 대해선 이미 우리 입장을 분명히 했다"고 선을 그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전방위 관세 발표 이후 잠시나마 '공조'를 모색했던 EU·중국 관계가 다시 경색될 조짐도 감지된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달 말 중국에서 열릴 예정이던 EU·중국 정상회담 일정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애초 24∼25일로 조율 중이었으나 최근까지 EU와 중국의 무역 긴장이 이어지면서 중국 측이 25일 일정을 취소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즉답하지 않으면서 "양측은 새로운 중국·EU 정상회담을 잘 준비하기로 동의했다"며 "구체적인 일정에 관해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파울라 핀호 EU 집행위 수석대변인도 "(일정 축소에 관한) 보도를 봤으나 회담 일정이 확정된 적이 없으며 아직 중국 측과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xing@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