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US 미국AI에이전트’ 신규 상장... AI 에이전트 소프트웨어 투자
정재원 기자(jeong.jaewon@mk.co.kr)
입력 : 2025.05.20 11:06:11
입력 : 2025.05.20 11:06:11
‘생산성 혁신’ 美 AI 에이전트 투자
소프트웨어 기업 집중투자로 차별화
소프트웨어 기업 집중투자로 차별화

한화자산운용이 미국의 대표 인공지능(AI) 에이전트 기업에 투자하는 ‘PLUS 미국AI에이전트’ 상장지수펀드(ETF)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20일 한화운용에 따르면 ‘PLUS 미국AI에이전트’는 생산성과 효율성을 혁신적으로 향상하는 미국 내 주요 AI 에이전트 기업에 집중투자하는 상품이다.
글로벌 고객관리(CRM) 시장 점유율 1위 세일즈포스, 전 세계 6000여개 기업들이 이용 중인 전사관리시스템(ERP) 기업 SAP, 엔비디아, MS, 구글, 글로벌 빅테크와 전략적 협력 관계인 서비스나우 등이 편입된다.
이 밖에도 AI 에이전트 기반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크라우드스트라이크, 반도체 칩 설계 AI에이전트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놉시스 등 15개 종목이 담겨져 있다.
B2B(기업 간 거래) 솔루션을 제공하는 이들 기업은 최근 경쟁적으로 AI 에이전트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세일즈포스는 지난해 9월 자율형 AI 에이전트 ‘에이전트포스’를 공개했고, 서비스나우는 엔비디아·구글·오라클 등과 파트너십을 강화해 새로운 AI 에이전트 플랫폼을 이번달에 공개했다.
한화운용은 ‘PLUS 미국AI에이전트’가 소프트웨어 기반의 AI 에이전트 기업에 집중투자한다고 강조했다.
주어진 환경에서 자율적으로 작동하는 AI 에이전트는 업무 자동화, 개인 맞춤형 서비스,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등 이용자가 설정한 목표를 해결한다.
이에 리스크 및 컴플라이언스, 인적자원 관리,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서 20% 이상의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특히, 최근 AI 기술 발달과 상용화로 가파른 성장세가 기대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글로벌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전 세계 AI에이전트 시장 규모는 지난해 51억달러에서 2030년 471억달러로 연평균 44.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금정섭 한화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AI기술의 진화는 이제 주체적인 문제해결과 복잡한 작업 수행까지 가능한 AI에이전트의 시대로 접어들었다“며 ”‘PLUS 미국AI에이전트 ETF’는 실제로 AI에이전트를 활용해 비즈니스 혁신과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에 집중투자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금 본부장은 “세일즈포스, SAP, 서비스나우 등 AI에이전트 솔루션을 상용화해 실적과 성장성을 입증한 기업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함으로써 혁신 산업의 미래 성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한다”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美 스테이블법안 사실상 통과에 비트코인 10.6만弗 [매일코인]
-
2
AI시대 핵심 에너지원에 투자…‘SOL 미국원자력SMR’ 신규상장
-
3
바운스빗, 블랙록 ‘비들’ 활용 RWA 기반 거래 전략 가동
-
4
데브시스터즈(194480) 소폭 상승세 +5.58%, 4거래일만에 반등
-
5
코람코, 투자자중심 운용 철학 담긴 ‘VISION2030’ 선포
-
6
트럼프發 고관세 충격 예고 … “글로벌 인프라 투자로 대응해야”
-
7
세원물산(024830) 상승폭 확대 +6.18%, 6거래일만에 반등
-
8
쿠쿠홀딩스(192400) 소폭 상승세 +4.03%, 52주 신고가, 3거래일 연속 상승
-
9
세빌스 “1분기 서울 프라임 오피스 공실률 3.4%에 그쳐”
-
10
해밀턴레인, IMM인베 인프라 8호 펀드 LP 지분 투자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