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풀었더니 일주일만에 난리”…반도체·바이오 집중 타깃됐다
김대은 기자(dan@mk.co.kr)
입력 : 2025.04.07 21:10:32
입력 : 2025.04.07 21:10:32
공매도 재개 일주일 동안
한미반도체·SK하이닉스 등
과열종목으로 2회 지정돼
디젠스·젬백스 등에도 몰려
배터리株, 우려보단 비중 낮아
공매도·주가 관계는 불분명
한미반도체·SK하이닉스 등
과열종목으로 2회 지정돼
디젠스·젬백스 등에도 몰려
배터리株, 우려보단 비중 낮아
공매도·주가 관계는 불분명

지난달부터 국내 증시에서 공매도가 재개된 가운데 첫 일주일 동안 코스피에서 26회, 코스닥에서 72회 공매도 과열 종목이 지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예상과 달리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된 대형주 중에서는 반도체주가 많았다. 중소형주 중에서는 이른바 ‘이재명 테마주’로 불리는 정치 테마주와 바이오 기업들이 주로 위치해 있었다.
7일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증시에서 공매도는 재개 첫날인 지난달 31일 전체 거래대금의 10.38%를 차지했다가 차츰 하락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날인 지난 1일에는 공매도 거래대금 비율이 6.15%까지 떨어졌고 이후 2일 6.98%, 3일 7.61%까지 올랐다가 4일에는 다시 7.04%로 감소했다.
주로 코스닥 시장보다는 유가증권 시장에서 공매도가 집중되고 있었다. 공매도 재개 첫날 유가증권 시장에서 이뤄진 거래대금의 13.19%가 공매도였고, 이후에도 이 비율은 10%를 내외를 오가고 있다.
반면에 코스닥 시장에서는 첫날 7.15%로 시작해 공매도 거래대금 비율이 전체의 3%를 밑돌고 있다.
애초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2차전지 관련 종목이 집중 표적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지만, 실제로는 반도체와 일부 정치 테마주를 중심으로 공매도가 집중되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주가하락률, 공매도 비중, 공매도 증가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매일 공매도 과열 종목을 선정하고 다음 날 공매도를 금지하고 있다.
지난 일주일간 유가증권 시장에서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2회 지정된 종목은 동원금속, 동원시스템즈, 일성건설, 카카오, 한미반도체, SK하이닉스였다.
이 중 SK하이닉스와 한미반도체는 국내 증시의 대표적인 반도체주로 꼽히며, 동원금속과 일성건설은 이른바 ‘이재명 테마주’로 불리는 정치 테마주에 속한다.
같은 기간 코스닥 시장에서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3회 지정된 종목은 디젠스, 삼천당제약, 서진시스템, 원익홀딩스, 제이앤티씨, 젬백스였다.
이 중 디젠스는 마찬가지로 ‘이재명 테마주’로 꼽히는 정치 테마주이고, 원익홀딩스와 제이앤티씨는 반도체 관련주로 분류된다. 한편 삼천당제약과 디젠스, 젬백스는 바이오 기업에 해당한다.
개인투자자들이 우려했던 것과 달리 공매도와 주가의 상관관계는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공매도의 표적이 된 종목들이 오히려 시장수익률을 웃돌거나,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된 다음 날 주가가 계속 하락하는 경우가 계속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령 지난 4일 현대홈쇼핑은 전체 거래대금 중 공매도 비중이 58.54%에 달했으나 주가는 0.21% 올랐다.
반대로 SK하이닉스는 지난 4일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돼 다음 거래일인 7일 공매도가 금지됐으나 주가는 9.55% 하락했다.
당초 금융투자업계에서 공매도 표적으로 예상했던 2차전지 관련 종목들은 점차 공매도 비중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유가증권 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공매도 재개 첫날인 지난달 31일 공매도 거래대금 비율이 36.89%에 달했으나 이달 4일에는 18.95%에 불과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에코프로비엠이 지난달 31일에 전체 거래대금의 21.64%가 공매도였으나 점차 하락해 4일에는 이 비중이 3.11%까지 줄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뉴욕증시, '끝 모를 추락' 공포 vs 반등 기대…급등락 출발
-
2
EU, 美에 車·공산품 무관세 제안…美 "부가세 내려라"
-
3
백악관, '트럼프 90일간 관세 일시중단 검토' 보도에 "가짜뉴스"(종합)
-
4
[속보] 트럼프 "中 이외의 다른 나라들과 관세협상 즉시 개시"
-
5
[속보] 트럼프 "中, 34% 맞불관세 철회안하면 中에 50% 추가 관세"
-
6
트럼프, 中에 50% 추가 관세 위협…"다른 나라와는 즉시 협상"
-
7
멕시코 대통령 "대미 보복관세 원치 않지만, 배제하진 않아"
-
8
애플 주가 또 5% 하락…웨드부시 "트럼프 촉발 관세는 재앙"
-
9
트럼프, 中에 50% 추가관세 위협…"다른 나라와는 즉시 협상"(종합)
-
10
트럼프, 각서 통해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차단 결정 재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