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환율 낮아 최고 인기”…국내 항공사들 일제히 노선 늘린 ‘이곳’
이상규 매경닷컴 기자(boyondal@mk.co.kr)
입력 : 2025.03.29 08:35:05
입력 : 2025.03.29 08:35:05

국적 항공사들이 올해 하계 항공 스케줄 기간(3월 30일∼10월 25일)을 맞아 일제히 중국과 일본 노선에서 운항을 늘린다.
30일 국토교통부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올해 하계 기간 항공사들이 국내 공항에서 운항하는 중국·일본 노선은 128개로, 지난해 115개보다 13개 늘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말 취항한 인천∼푸저우 노선을 기존 주 3회에서 주 4회로 1회 운항을 확대한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올해 하계 기간 중국 노선에서 주당 195회 운행하면서 2019년 수준의 약 90%를 회복했다. 일본 노선은 다음 달 18일 인천∼고베 노선에 신규 취항해 주 2회 운항한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날부터 인천발 충칭, 청두 노선에 취항해 주 7회(매일) 항공편을 띄운다. 인천∼다롄 노선은 주 7회에서 10회로 늘리고, 인천∼옌지 노선은 주 5회에서 7회로 운항을 확대했다가 다음 달 28일부터는 8회로 더 늘린다. 인천∼창춘은 주 4회에서 9회로, 인천∼창사는 주 4회에서 5회로 증편한다.
제주항공은 제주발 시안, 홍콩 노선에서 주 2회로 운항을 재개한다. 인천발 오사카 노선은 지난해 하계 스케줄 기간 주 22∼27회 운항하다가 올해 28회로 늘렸다. 인천발 마쓰야마 노선은 주 7회에서 14회로 2배 늘렸다. 티웨이항공도 다음 달 21일과 22일 중국 옌지로 향하는 청주발, 대구발 주 3회 노선에 각각 취항한다. 5월 22일부터는 인천발 우한 노선에도 주 3회 항공편을 띄운다.
진에어는 다음 달 3일 인천발 일본 이시가키지마에 주 5회 일정으로 단독 취항한다. 부산∼나고야, 후쿠오카도 주 7회 운항을 재개한다.
에어부산은 부산발 중국 옌지 노선을 주 3회에서 6회로 증편하고, 장자제 노선은 주 4회에서 6회로 확대한다. 부산∼시안 노선은 주 2회 재운항한다.
이스타항공은 지난해 동계 시즌 운항하지 않았던 제주∼상하이(주 7회), 청주∼장자제(주 4회) 노선에서 다시 운항한다.
에어로케이는 청주발 중국 쿤밍·청두·황산, 오르도스 등 노선과 일본 이바라키, 오비히로, 기타큐슈, 시즈오카 등 소도시 노선 등에 항공편을 띄운다. 인천에서는 대도시인 도쿄·오사카 중심으로 운항한다. 에어서울은 오는 31일 인천발 요나고행 단독 노선을 주 3회에서 5회로 증편한다.
항공업계에서는 올해 하계 기간에도 물가와 환율 부담이 비교적 낮은 중국과 일본의 인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은 작년 말 한국인 무비자 정책 시행 이후 가성비 여행 상품이 대거 나오면서 여행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일본은 엔 환율이 오르는 추세지만 단거리는 상대적으로 환율 영향에 둔감해 수요가 크게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당분간 주식시장은 못 믿겠다”…안전자산 선호 현상에 ‘금엔장’ 뭉칫돈
-
2
“이제 ‘삼쩜삼’ 안써도 되겠네”...수수료 무료 서비스 내놓은 국세청
-
3
이재명 ‘상장사 경영승계’ 거론하며…“한덕수, 기어이 상법 거부할건가”
-
4
독일 3월 물가상승률 2.2%…예측치 하회
-
5
이니텍,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 담보제공 계약 체결
-
6
주식시장 꽁꽁 얼었는데…불붙는 LNG, 트럼프 관세카드가 불씨라는데
-
7
“먹는거 자는거부터 줄였어요”...체감하기 어려운 경기 ‘반짝 회복’
-
8
美 "北, 위성·GPS 재밍 능력 입증…'反우주기술' 배치 가능성"
-
9
‘코인 대통령’ 자처하더니 행동은…트럼프發 관세전쟁에 가상자산 ‘털썩’
-
10
트럼프 정부, 관세전쟁 피해 집중될 美 농가 지원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