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부품 없으면 해상풍력 터빈 올스톱…“이러다 시장 다 먹힐 판”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

입력 : 2025.08.04 23:10:23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실

해상풍력 터빈 절반이 수입산
일부 부품은 중국산이 100%

기술이전·인센티브 지원 통해
국내업계 경쟁력 키워줘야




중국산 기자재가 태양광 패널에 이어 이제 막 성장 단계에 접어든 국내 해상풍력 시장에서도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해상풍력 터빈은 현재 절반이 수입산이고, 일부 부품은 전부 중국산이다.

4일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실이 정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해상풍력에서 외국산 터빈 설비용량은 310.98메가와트(㎿)에 달했다. 이는 국내 제조 터빈 설비용량(315.63㎿)에 육박하는 규모다. 외국산 터빈은 주로 중국이나 유럽에서 제조된 것으로 파악됐다.

일부 수입 해상풍력 부품은 전량이 중국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풍력 발전기용 휠 수입량은 976t에 달했다. 해당 부품은 전량 중국에서 수입됐다. 발전기와 터빈 사이 동력을 제어·전달하는 장치인 풍력 발전기용 클러치는 같은 기간 31t 수입됐다. 이는 중국산이 64.5%였다. 풍력 발전기용 전동기 부품도 수입된 2395t 가운데 중국산이 2026t으로 84.6%를 차지했다.

중국에서 해상풍력 시장이 성장하면서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갖춘 기자재 부품이 수입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들어 수입량이 다소 꺾이긴 했지만, 향후 중국산 부품 수입이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정부의 해상풍력 고정가격 입찰제에 선정된 사업자 가운데 중국 회사와 부품 공급계약을 맺은 곳이 상당수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해상풍력 기자재가 태양광 패널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선제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태양광은 이미 손쓸 수 없기 때문에 해상풍력 쪽에 집중하는 게 필요한데, 여전히 국내 업계 경쟁력이 부족하다”며 “고용 창출을 위해 부품 공장이라도 국내에 유치하거나 외국 회사 부품을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형식으로 생산해 기술력을 이전받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향후 다양한 정책을 통해 해상풍력 터빈 국산화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해상풍력 타워, 하부 구조물 측면에서 국내 업계가 경쟁력을 보유한 만큼 터빈에 집중하겠다는 의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해상풍력 입찰 시장에서 국책과제로 개발된 터빈을 사용하는 프로젝트에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앞서 산업부는 국책과제 연구개발(R&D)을 통해 10㎿급 국산 터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터빈을 상용화하기 위해 국내 프로젝트부터 실증을 진행해 ‘트랙 레코드’를 쌓겠다는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국산 터빈을 사용하면 정책적으로 지원해주는 방안을 꾸준히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8.05 01:3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