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장 내수부진서 탈출 기대 '꿈틀'…소비쿠폰으로 힘 받나

3년 넘게 이어진 내수 부진에 끝 보이는 듯소비심리 회복 조짐에 소비쿠폰 호재…트럼프 관세는 여전히 악재
이대희

입력 : 2025.08.03 06:01:14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후 첫 주말…소상공인 살아날까
(경산=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후 첫 주말인 27일 경북 경산시 한 상가에 민생회복 쿠폰 사용처라는 안내 현수막이 붙어 있는 가운데 옆 상가는 폐점한 채 임대 안내문이 붙어있다.중소기업중앙회는 이날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해 소기업·소상공인 81.1%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는 설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2025.7.27 psik@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민경락 기자 = 역대 최장기간 이어진 내수 부진이 끝나고 3분기에는 소비가 늘어날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린다.

1인당 15만원 이상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상당한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다만 대미 관세율 상승에 따른 수출과 투자 부진 등 구조적 악재에 관한 우려가 혼재하는 양상이다.

◇ 소매판매 감소 폭 3년 만에 최소…서비스업 생산도 호조세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소매판매(불변지수)는 1년 전보다 0.2% 감소했다.

소매판매는 2022년 2분기부터 13개 분기 연속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1995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장기간 소비 위축 기록이다.

외환위기 때인 1997년 4분기∼1998년 4분기에도 5개분기에 그쳤다.

다행히 바닥이 가깝다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2분기 소매판매 감소 폭은 내수 부진이 시작된 2022년 2분기 이후 가장 작았다.

소비의 다른 한축인 서비스업 생산도 2분기 1.4% 늘었다.

지난해 2분기(1.6%) 이후 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소비자심리지수(CCSI)에서도 회복 조짐이 점차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비상계엄 사태가 있던 작년 12월 88.2까지 급락했으나 최근엔 지난 3월 93.4에서 4월 93.8, 5월 101.8, 6월 108.7에 이어 7월 110.8까지 넉 달 연속 상승했다.

특히 7월 지수는 2021년 6월(111.1)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았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광주=연합뉴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21일 광주 북구 두암3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주민들이 신청절차를 밟고 있다.2025.7.21 [광주 북구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in@yna.co.kr

◇ 소비심리 개선이 실물로 확산…소비쿠폰 지급이 한몫 소비심리 개선세가 실물 소비로 나타나는 흐름이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체 카드 승인액은 313조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다.

통계청 속보성 지표 나우캐스트에 따르면 7월 첫째 주(6월 28일∼7월 4일) 신용카드 이용금액은 작년 동기보다 12.6% 증가했다.

7월 둘째 주(7월 5∼11일)도 3.7%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21일부터 '실탄'인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됐다.

국민 1인당 15만∼55만원이 본격 여름 휴가철과 맞물려 꽂히기 시작한 것이다.

소비쿠폰 지급 후 외식·서비스업·유통업 등 분야에서 눈에 띄는 매출 증가세가 나타난다는 얘기들이 나온다.

이런 소비 회복 신호에 힘입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도 현재 약 0.8%에서 약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3분기에 소비 등 내수가 추가로 탄력을 받아 경제성장률을 더 강하게 끌어올린다는 것이다.

내수는 1분기에 성장률을 0.5%포인트(p) 낮췄지만, 2분기에는 0.3%p 높였다.

실질 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은 1분기 -0.2%로 역성장한 뒤 2분기 0.6%로 반등했다.

정부 관계자는 "소비쿠폰 지급에 따라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는 기관이 적지 않다"며 "쿠폰 발급 전부터 돈이 들어온다는 점을 국민들이 인지하고 있어서 소비 개선 기대가 나온다"고 말했다.

2분기 한국 경제 0.6% 반등
(평택=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소비 회복과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올해 2분기 한국 경제가 1분기보다 0.6% 성장했다.한국은행은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6%로 집계됐다고 밝혔다.사진은 24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2025.7.24 cityboy@yna.co.kr

◇ 투자 회복은 아직…美 FTA 무관세 종료 약한 고리는 투자다.

건설기성(불변)은 지난 2분기 1년 전보다 17.5% 감소했다.

1분기(-21.2%)보다 나아졌지만 여전히 두 자릿수 마이너스다.

건설수주도 8.4% 줄었다.

지난해 3분기 26.8% 증가에서 4분기 9.7%, 1분기 1.1%로 증가 폭이 줄다가 2분기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GDP 성장률을 기준으로 보면 지난 2분기 건설투자(-0.2%p)와 설비투자(-0.1%p)는 성장률을 낮추는 요인이었다.

불안 요소는 여전히 미국이다.

미국과의 협상 타결로 상호관세율 25% 부과를 피하고 15%만 적용받게 되면서 불확실성이 사라진 점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기존에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대부분 품목이 무관세였던 점을 고려하면 관세 부담은 적지 않게 커졌다.

3천500억달러(약 486조 4천억원) 규모의 대미 투자 약속에 따른 역효과로 국내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관세로 세계적으로 대미 수출이 줄어들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며 "우리는 대미수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민간기업 가동률이 줄고 고용이 위축되며, 그에 따라 소득 하락과 소비 감소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업의 총투자 여력은 정해져 있는데 미국에 투자를 약속했으니 국내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며 "이에 따라 고용 감소 효과가 나타날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2vs2@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8.03 10:20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