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말 나라살림 적자 54조대…국가채무는 1천200조 넘어(종합)
1차추경 반영, 연말까지 더 늘듯…상반기 국고채 발행, 연간 60%
송정은
입력 : 2025.07.10 19:50:43
입력 : 2025.07.10 19:50:43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22일 서울 남대문시장에서 시민들과 관광객들이 상점을 둘러보고 있다.정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안으로 전 국민에게 15∼50만원씩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면서 실제 소비 진작 효과에 이목이 쏠린다.2025.6.22 ryousanta@yna.co.kr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1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이 반영된 올해 1∼5월 나라살림 적자가 54조원대를 기록했다.
큰 폭의 적자를 기록했던 작년보단 개선됐으나 역대 4번째로 많은 규모다.
나랏빚이 늘면서 5월 말 중앙정부 채무는 처음 1천200조원을 넘었고 2차 추경까지 반영되면 연말까지 더욱 늘 전망이다.
10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7월호'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총수입은 작년 동기 대비 21조6천억원 증가한 279조8천억원이다.
1차 추경 대비 진도율은 42.9%로 나타났다.
국세수입이 172조3천억원으로 작년보다 21조3천억원 증가했다.
법인세가 기업실적 개선과 법인 이자·배당소득 증가로 14조4천억원 늘었다.
소득세도 해외주식 확정신고분 납부 증가에 따른 양도소득세 증가, 성과급 지급 확대·근로자 수 증가에 따른 근로소득세 증가 등으로 6조2천억원 증가했다.
세외수입은 17조4천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3조6천억원 증가했으나 기금수입이 3조3천억원 줄어든 90조원으로 집계됐다.
5월 말 기준 총지출은 315조3천억원으로 작년보다 4조9천억원 늘었다.
진도율은 45.9%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35조5천억원 적자를 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54조2천억원 적자였다.
총수입이 늘어난 영향으로 작년보다는 20조2천억원 개선됐다.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은 2020년, 지난해, 2022년에 이어 역대 4번째로 큰 수준이다.
이는 5월 통과된 1차 추경까지 반영된 수치다.
2차 추경은 오는 9월 발표되는 7월 말 기준 재정동향에 반영될 예정이다.
정부는 지출, 수입 변동성에도 관리재정수지가 연말에는 예산상 계획된 규모로 수렴할 것으로 보고 있다.
2차 추경에 따른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은 올해 연간 111조6천억원이다.
5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1천217조8천억원이다.
전월보다 19조9천억원 증가하며 처음으로 1천200조원대를 진입했다.
2차 추경까지 반영되면 중앙정부 채무에 지방정부 채무를 합친 전체 국가채무는 올해 1천301조9천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49.1%를 기록할 전망이다.
6월 국고채 발행 규모는 23조8천억원으로, 1∼6월 누계로는 123조8천억원 발행됐다.
연간 총 발행한도의 59.8%를 채웠다.
6월 국고채 금리는 2차 추경 영향이 선반영되는 가운데 국내 금리 인하 기대감 축소 등 영향으로 전월보다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6월 외국인 국고채 순투자는 5천억원 순유출됐다.
sj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사이테크+] "무릎 위 절단 환자, 자연스럽게 걷게하는 생체공학 의족 개발"
-
2
"美본토도 위험"…러·이란서 위력 확인한 美, 對드론 방어 비상
-
3
[뉴욕증시-1보] 관세 약발 떨어져가는 트럼프…동반 강세 마감
-
4
법사위, 오늘 상법 공청회서 '집중투표제·감사위원 분리' 논의
-
5
[2보] 뉴욕증시, '관세 불확실성'에도 낙관론…S&P 500 최고치 경신
-
6
브라질 룰라 "美 50% 부과하면 우리도 부과"…강공카드 꺼내나(종합)
-
7
[1보] 뉴욕증시 강세 마감…S&P 500·나스닥 최고치 경신
-
8
“삼성전자 빼고 주세요”…국장 몰려간 투자자들 ‘삼전 뺀 ETF’에 반했다
-
9
美 엔비디아, 종가 기준 시가 총액 4조 달러 첫 돌파
-
10
월러 美연준이사 7월 금리인하 입장 재확인…"정치적인 것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