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왜 이렇게 한숨 쉬어”…고등어·김치에 라면까지, 헉소리나는 밥상물가
이지안 기자(cup@mk.co.kr)
입력 : 2025.07.02 19:32:36
입력 : 2025.07.02 19:32:36
6월 소비자물가 2.2% 상승
정부 물가목표 부합했지만
수산·축산물 가격 크게올라
서민 체감 물가부담 커져
가공식품 석달 연속 4%대
외식 3% 서비스 3.5% 껑충
정부 “추경, 물가영향 제한적”
정부 물가목표 부합했지만
수산·축산물 가격 크게올라
서민 체감 물가부담 커져
가공식품 석달 연속 4%대
외식 3% 서비스 3.5% 껑충
정부 “추경, 물가영향 제한적”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정부의 물가 안정 목표치인 2%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으나 식료품 가격이 눈에 띄게 오르면서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이 부쩍 커졌다. 특히 라면, 달걀, 생선 등 자주 소비되는 품목의 가격이 상승해 체감물가가 더 높아졌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수산물 물가는 1년 전보다 7.4%, 축산물은 4.3%, 가공식품은 4.6% 올랐다. 세부적으로는 마늘(24.9%), 고등어(16.1%), 김치(14.2%), 커피(12.4%), 빵(6.4%), 달걀(6.0%) 등 구매 빈도가 높은 품목이 줄줄이 올랐다.
특히 고등어를 포함한 수산물 가격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조기(10.6%), 오징어(6.3%)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이는 수온 상승으로 인한 어획량 감소와 어항기(조업을 쉬는 시기)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4~6월인 어항기에는 어획량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이로 인해 수산물이 최근 계속 강세인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가공식품은 석 달 연속 4%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 지난달 기준 주요 가공식품 73개 중 62개 품목의 가격이 인상됐으며 오징어채(48.7%), 양념소스(21.3%) 등도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만 해도 1.3%에 불과했다. 그러나 비상계엄 사태 이후 올해 3월 3.6%로 급등했다.

60대 주부 이 모씨는 “간단히 장을 보러 가서 계란 한 판에 라면 몇 봉지, 맥주캔 세트 몇 개 담다 보면 어느새 5만원”이라며 장바구니 물가에 대한 부담을 토로했다.
다행스러운 점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정국 혼란기에 비해 가격 인상 사례가 다소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이미 가격 인상을 단행한 기업들은 당분간 정부의 물가 관리 기조를 주시하면서 추가 인상을 자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6월 외식물가는 3.1% 올라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돌았다. 5개월 연속 3%대다. 지난 5월(3.2%) 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가공식품과 외식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미친 기여도는 각각 0.39%포인트, 0.44%포인트로 전체 물가를 0.83%포인트 끌어올렸다.
먹거리가 아닌 서비스 가격도 올랐다. 여름철을 맞아 에어컨 설치·수리 수요가 증가하면서 출장비 인상 등으로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 물가가 3.5% 상승했다. 또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으로 국제유가가 오르며 전월 마이너스(-2.3%)를 기록했던 석유류 가격은 0.3%로 상승 전환했다.
기재부는 앞으로 기상 여건, 국제유가 등 불확실성 요인에 대비해 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임혜영 기재부 물가정책과장은 “물가 상승률이 수치상으로는 2% 내외로 유지되고 있지만 누적된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체감물가는 여전히 높다”며 생계비 부담 완화와 체감물가 안정에 방점을 찍고 물가를 관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기재부는 추가경정예산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 역시 올해 추경이 물가에 끼치는 영향은 크지 않으며 내년에도 물가 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은 0.1%포인트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대주전자재료(078600) 소폭 상승세 +3.12%
-
2
당일 자사주 체결 현황
-
3
[단독] ‘3% 성장 방안’ 들고...기재부 오늘 국정위에 세번째 업무보고
-
4
코스모신소재(005070) +4.58%, 에이프로 +2.83%, 피엔티 +2.56%, 피아이이 +2.71%, TCC스틸 +2.37%
-
5
전일대비 거래량 증가 종목(코스닥)
-
6
디케이락, 99.77억원 규모 공급계약(DK-LOK Tube Fittings, Valves and CNG/NGV Products 공급) 체결
-
7
외국계 순매수,도 상위종목(코스피) 금액기준
-
8
전일대비 거래량 증가 종목(코스피)
-
9
코스피지수 : ▲26.76P(+0.87%), 3,101.82P
-
10
서부T&D(006730) 소폭 상승세 +5.22%, 52주 신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