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응으로 희비 갈린 M7 주가…올 상반기 1등은 메타
정유정 기자(utoori@mk.co.kr)
입력 : 2025.07.01 15:26:31
입력 : 2025.07.01 15:26:31
AI 수익화 성공한 엔비디아·MS도 호조
생성형 AI 도입 더딘 애플은 하락
생성형 AI 도입 더딘 애플은 하락
올해 상반기 미국 매그니피센트7(M7) 종목들의 주가 흐름이 인공지능(AI) 대응력에 따라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는 AI 기술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M7 가운데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메타는 738.09달러에 마감하며 연초 대비 26.06% 상승했다. 같은 기간 마이크로소프트는 18.01% 오르고, 엔비디아는 17.65% 수익률을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반면 테슬라는 21.34% 하락하며 M7 중 가장 부진한 성적을 냈다. 애플(-18.07%), 알파벳(-6.85%)도 약세를 면치 못했다. 아마존(0.0 0%)은 보합권에 머물렀다. AI 산업에 대한 대응력이 M7 종목들의 희비를 가른 것으로 풀이된다.
메타는 AI를 기반으로 한 광고 기술을 도입해 지난 1분기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매출을 기록했다. 메타가 외부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체 AI 칩 개발에 나선 점도 시장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마이크로소프트(MS)도 AI 수요 증가가 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MS의 1분기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 매출은 33% 증가했으며, 이 중 절반가량은 AI와 관련한 성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시장의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며 이날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아마존, MS, 구글 등이 올해 데이터센터와 AI 인프라 투자 확대를 예고한 점도 기대를 키웠다.
반면 애플은 아이폰에 AI 기술 도입이 더디다는 평가를 받으며 주가가 크게 내렸다. 여기에 애플이 아이폰의 기본 검색엔진을 구글에서 AI 기반 타사 서비스로 교체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구글 모회사 알파벳 주가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지난 4월 애플의 웹브라우저인 사파리에서 구글 검색량이 처음으로 감소한 점도 알파벳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
테슬라는 전기차 성장세 둔화와 함께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 영향으로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갈등을 빚을 때마다 주가가 내렸다.
아마존은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와 서비스 확장에 나서고 있으나, MS나 엔비디아와 같은 대규모 수익화는 아직 이루지 못한 상황이다. 또 지난 1분기 아마존의 미국 내 온라인 소비 증가율이 3.7%에 그치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한 점도 주가에 부담이 됐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오픈AI가 몰고온 슈퍼사이클에 올라타야"
-
2
상반기 제일 잘 나간 ETF는?···방산·원자력 세자릿수 수익률 압권
-
3
NAVER, UPbit 손잡고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추진
-
4
1兆 판교 테크원타워 매각전 개막…국내외 큰손들 대거 참여
-
5
M7 주가 '희비'…상반기 1등은 메타
-
6
불황 늪 석화·2차전지에 '신용등급 쇼크'… 재무리스크 더 커졌다
-
7
[인기검색TOP5] SK, 한화, LG씨엔에스, 동양철관, 현대건설
-
8
다원시스, 159.76억원 규모 공급계약(배터리 지붕탑재형 무가선 저상트램 차량 제작) 해지
-
9
코스닥서 짐싸는 개미들…코스피 투자 확 늘렸다
-
10
상법개정 초읽기…지주사株 신고가 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