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특례 상장사 10곳 중 7곳 시총 감소…40%는 시총 반토막

CEO스코어, 2005∼2024년 기술특례 상장사 시총·실적 조사
장하나

입력 : 2025.05.28 06:01:00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기술특례 상장사 10곳 중 7곳은 상장 이후 시가총액(시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총이 절반 이하로 급감한 곳도 전체의 40%에 육박했다.

알테오젠
[알테오젠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28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2005∼2024년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 248곳 중 상장 폐지된 3곳을 제외한 245곳을 대상으로 시총과 실적 등을 조사한 결과, 지난 15일 기준 시총이 상장일 당시보다 감소한 기업은 172곳(70.2%)으로 집계됐다.

기술특례 상장 제도는 우수한 기술력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 상장할 수 있도록 상장 기준을 낮춰주는 제도로 2005년 도입됐다.

기업이 보유한 기술이 유망하다고 판단될 경우 재무제표상 적자라도 상장 기회를 제공한다.

이들 기술특례 상장사의 시총 합산 규모는 15일 기준 76조6천410억원 수준이다.

조사 대상 중 시총이 늘어나 기업 가치 제고에 성공한 업체는 73곳(29.8%)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실적 부진으로 시총이 감소했다.

기술특례 상장사 시총 증감률 분포 현황
[CEO스코어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해 영업손실을 기록한 기술특례 상장사는 208곳(84.9%)으로 집계됐다.

상장한 지 10년이 지난 기업 15곳 중에서는 알테오젠, 이수앱지스, 코렌텍 등 3곳을 제외한 12곳(80.0%)이 지난해 영업 적자를 냈다.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 파두는 지난해 950억원의 영업 적자를 내며 가장 부진했다.

시총 규모도 상장 당시 1조3천263억원에서 15일 기준 5천669억원으로 57.3% 쪼그라들었다.

상장일 대비 시총이 반토막 난 기업은 94곳(38.4%)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업종의 시총 감소 기업 비율이 93.8%로 가장 높았다.

이어 반도체(93.3%), 서비스(83.3%), 기타 바이오(83.3%), 소프트웨어(SW)·IT(76.2%), 정밀기기(75.0%), 운송장비·부품(75.0%) 등의 순이었다.

반면 제도 도입 초기 큰 수혜를 본 제약(70.2%)과 의료기기(68.2%)는 시총 감소 기업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기술특례 상장 이후 시가총액 증가 상위 10곳
[CEO스코어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기업별로 보면 기술특례 상장 이후 시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바이오 의약품 개발사인 알테오젠이다.

2014년 12월 상장한 알테오젠의 시총은 상장일 당시 1천200억원에서 이달 15일 기준 17조6천485억원으로, 17조5천억원 가량(1만4천612%) 늘었다.

이어 리가켐바이오(3천608.3%), 파크시스템스(3천50.4%), 펩트론(1천969.9%), 레인보우로보틱스(1천341.1%) 등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시총이 가장 크게 줄어든 업체는 리보핵산(RNA) 치료제 개발사 올리패스다.

올리패스의 시총은 상장 당시 3천441억원에서 이달 15일 기준 90억원으로, 3천351억원(-97.4%) 급감했다.

셀레스트라(-94.6%)와 에스씨엠생명과학(-93.3%), 유틸렉스(-92.0%), 프리시젼바이오(-91.7%), 네오이뮨텍(-91.2%), 지놈앤컴퍼니(-91.1%) 등도 감소했다.

한편 기술특례로 상장했다가 현재 상장 폐지된 기업은 단백질 소재 바이오 신약 개발사 셀리버리,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사 유네코, 항공기 부품 제조사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등 3곳이다.

hanajjang@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9 11:5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