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형유통업체 타깃, 실적 전망 하향…트럼프 관세 후폭풍

순익 전망범위 최대 20% 낮춰…불매운동 外 소비심리 악화 등 영향"관세 관련 비용 상쇄 위해 노력…필요한 경우 가격 인상할 것"
이지헌

입력 : 2025.05.22 00:55:18


뉴욕 브루클린의 타깃 매장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여파로 미국내 소비심리가 크게 악화한 가운데 미국 대형 유통업체인 타깃이 연간 실적 전망치를 대폭 하향 조정했다.

타깃은 21일(현지시간) 실적발표에서 올해 회계연도의 조정 주당순이익 가이던스(선제안내)를 종전 8.8∼9.8달러에서 7.0∼9.0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전망치 범위 하단 기준으로 올해 순익 전망을 종전보다 20%나 낮춘 것이다.

매출 전망도 앞선 실적 발표에선 올해 약 1%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지만, 이번 발표에서는 '낮은 한 자릿수대 감소'로 낮춰서 제시했다.

소매업체들이 '트럼프 관세'를 얼마나 잘 헤쳐 나가는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관세가 초래하는 후폭풍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클 수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대형 소매업체들이 제시하는 실적 가이던스는 향후 소비 동향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이 주시하는 지표다.

브라이언 코넬 타깃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콘퍼런스콜에서 소비자들이 임의소비재(소비자에게 필수적이지 않은 상품과 서비스를 의미) 지출을 줄이고 있으며, 소비심리가 악화한 게 사업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미시간대가 발표하는 소비자심리지수는 5월 50.8로 5개월 연속 하락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한편 회사 개별 요인으로 타깃이 트럼프 대통령의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 방침에 순응해 DEI 정책을 종료한 게 역풍을 불러일으키면서 매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날 발표된 타깃의 1분기의 동일매장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8% 감소해 시장 기대보다 악화 폭이 더욱 컸다.

관세 인상과 관련해선 공급업체와의 협상, 판매제품 다각화, 주문 시기 조정, 생산국 이전을 통해 관세 관련 비용을 상쇄하기 위해 노력하고, 필요한 경우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고 타깃은 밝혔다.

앞서 지난주 실적을 발표한 월마트는 관세 여파로 조만간 제품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가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강도 높은 비난을 받은 바 있다.

pa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2 07:0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