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도 저성장 진입했나…내수 부진 속 1분기 첫 '역성장'

지난해 점포 수도 첫 감소…GS25·CU 실적 줄줄이 하락출점 통한 외형성장 한계…내실 다지기로 위기 타개 모색
전성훈

입력 : 2025.05.11 09:25:54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근거리 식료품점'으로 주목받으며 승승장구하던 편의점이 장기화하는 내수 부진의 파고에 부딪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매출은 제자리걸음인데 인건비를 비롯한 비용 부담은 커져 주요 업체 실적도 내리막길을 걷는 양상이다.

1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유통업 매출 동향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1∼3월) 편의점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0.4% 역성장했다.

편의점의 분기 기준 매출이 뒷걸음질한 것은 관련 통계가 공개된 2013년 2분기 이래 처음이다.

그동안 매 분기 5∼10% 안팎의 고성장을 이어온 점에 비춰 눈에 띄는 업황 부진이다.

표면적으로는 지난 3월까지 이어진 추운 날씨, 경북 대형 산불 등의 돌발 외생 변수가 작용한 것으로 업계는 분석한다.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깊고 단단한 내수 부진의 여파가 대표적인 '경기 방어' 업종인 편의점 업황마저 끌어내리고 있다는 시각이 많다.

특히 올해 1분기는 지난해 12월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불안정한 정치 상황이 더해져 소비 심리가 더 빠르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1분기 주요 업체 실적에도 반영됐다.



편의점 물가도 줄줄이 상승
(서울=연합뉴스) 진연수 기자 = 최근 물가 급등으로 편의점에서 1천원에서 살 수 있는 컵라면이나 삼각김밥, 과자 등을 찾기 힘들어졌다.GS25와 CU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오뚜기 진라면과 스낵면 작은컵은 지난 1일부터 1천100원으로 올랐고, 삼각김밥도 가장 저렴한 제품이 1천100원이다.사진은 14일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 진열된 삼각김밥.2025.4.14 jin90@yna.co.kr

GS25는 매출이 2.2%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34.6% 급감했다.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282330]도 매출은 3.2% 늘어났지만 영업이익은 30.7%나 감소했다.

편의점업계 1위를 다투는 두 회사 모두 매 분기 5% 이상을 기록하던 매출 증가율이 반토막 난 가운데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각종 비용 증가로 수익성마저 크게 악화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고질적인 내수 침체 속에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편의점이 본격적인 저성장 국면에 진입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편의점 외형 성장의 지표인 점포 수 증감 추이가 이를 뒷받침한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편의점 점포 수는 5만4천852개로 전년보다 68개 줄었다.

연간 기준 점포 수가 감소한 것은 편의점 산업이 태동한 1988년 이후 처음이다.

미니스톱과 합병해 점포 효율화를 진행 중인 세븐일레븐이 1천개 이상 점포를 감축한 영향을 고려하더라도 편의점 성장 가도에 제동이 걸렸다는 상징적인 신호로 업계에선 받아들인다.

실제 편의점 점포 확장 추세는 근래 확연하게 꺾였다.

산업부 통계를 보면 2018년까지 전년 대비 10%를 웃돌던 편의점 점포 증가율은 2019년부터 5% 안팎으로 주저앉았고 지난해에는 2∼3%대까지 떨어졌다.

올해 1분기는 1%를 밑도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3월은 0.3%에 그쳐 월간으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시장에서도 편의점의 향후 성장성을 낙관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조상훈·김태훈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장기화하는 소비 침체에 가장 방어적인 편의점마저 타격이 있다"며 구조적인 저성장 단계에 들어갔다고 진단했다.

이진협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편의점은 일반적으로 전통 유통업종 대비 밸류에이션(평가가치) 프리미엄을 받아왔는데 최근 편의점 성장률 둔화로 밸류에이션 갭(격차) 축소가 불가피하다"고 짚었다.

각 업체도 출점을 통한 양적 성장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저마다 내실 경영으로 방향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점포를 늘려 매출을 키우는 시대는 지났다고 본다"며 "편의점도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처럼 고강도 점포 효율화와 사업 재편을 통해 점포당 수익성을 높이는 쪽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luch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1 13:2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