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러코스터 환율에...1분기 외화거래액 역대 최고
류영욱 기자(ryu.youngwook@mk.co.kr)
입력 : 2025.04.25 13:47:31
입력 : 2025.04.25 13:47:31
지난 1분기 하루 평균 외환거래액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달러값 상승과 외국인들의 국내 채권투자 수요가 외환거래를 확대했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분기 외국환은행의 일평균 외환거래액(현물환·외환파생상품)은 727억6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작년 4분기 677억3000만 달러보다 50억2000만 달러(7.4%) 증가한 수치고, 2008년 통계 개편 이후 최대 규모다.
외환거래는 통상 1분기에 늘어나는 경향을 보여왔다. 연말 북클로징(회계장부 마감) 영향으로 줄였던 거래를 확대하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서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채권을 활발하게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 채권자금 순유입 규모는 1분기 71억 달러로 전분기 35억9000만 달러의 2배 가까이 늘었다. 아울러 달러당 원화값이 1분기 평균 1452.9원으로 전 분기 1398.7원 보다 큰 폭으로 올라 환위험을 피하기 위해 달러 파생상품 투자가 크게 늘었다.
상품별로는 현물환 거래액이 279억40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9% 증가했고, 외환 파생상품은 448억1000만 달러가 거래돼 6.5% 늘었다.
은행별로 국내 은행은 일평균 325억4000만 달러를 거래했고, 외환은행의 국내 지점은 402억2000만 달러를 거래했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분기 외국환은행의 일평균 외환거래액(현물환·외환파생상품)은 727억6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작년 4분기 677억3000만 달러보다 50억2000만 달러(7.4%) 증가한 수치고, 2008년 통계 개편 이후 최대 규모다.
외환거래는 통상 1분기에 늘어나는 경향을 보여왔다. 연말 북클로징(회계장부 마감) 영향으로 줄였던 거래를 확대하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서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채권을 활발하게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 채권자금 순유입 규모는 1분기 71억 달러로 전분기 35억9000만 달러의 2배 가까이 늘었다. 아울러 달러당 원화값이 1분기 평균 1452.9원으로 전 분기 1398.7원 보다 큰 폭으로 올라 환위험을 피하기 위해 달러 파생상품 투자가 크게 늘었다.
상품별로는 현물환 거래액이 279억40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9% 증가했고, 외환 파생상품은 448억1000만 달러가 거래돼 6.5% 늘었다.
은행별로 국내 은행은 일평균 325억4000만 달러를 거래했고, 외환은행의 국내 지점은 402억2000만 달러를 거래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2030은 지출관리·4050은 자산배분…“그럼 60대땐 무슨 재테크 하나요”
-
2
“우리 아직 안 죽었어”…거품 논란 뚫고 상승세 탄 美기술주, 반도체도 웃었다
-
3
'건기식 명가' 인삼공사 글로벌사업 확장 위해 日기업 M&A 저울질
-
4
러시아서 한국 화장품 인기…K뷰티 포럼 열려
-
5
“집 한 채로 평생 월급 챙길 수 있어요”…주택연금 ‘진짜’ 가이드 들어보니
-
6
“7월에 한국경제 운명 갈린다”…미국과 관세협상, 새 정부 출범 이후 최종결론
-
7
“빨리빨리 하자” “왜 이리 급해”…한자리에 앉은 韓·美 관세협상 동상이몽
-
8
원일티엔아이, 일반청약 경쟁률 1천312대 1…증거금 2.6조
-
9
[표] 주간 거래소 기관 순매수도 상위종목
-
10
[표] 주간 코스닥 외국인 순매수도 상위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