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미분양' 또 늘어 2만4천가구…11년 5개월 만에 최대
"적체 물량·정치적 불확실성에 단기 해결 힘들어…수요 살아나야"
오예진
입력 : 2025.04.20 07:05:01
입력 : 2025.04.20 07:05:01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건설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지난해 4분기 건설 실적이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선행지표인 건설 수주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실제 공사에 반영되는 시차를 고려하면 올해에도 건설 불황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건설기성액(불변)은 30조4천492억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보다 10.1% 감소했다.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의 한 건설 현장 모습.2025.2.4 ryousanta@yna.co.kr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정부가 지방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고 세제 혜택을 주는 등 각종 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전국 '악성 미분양'은 계속 늘며 11년 5개월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2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른바 악성 미분양이라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 2월 말 기준으로 전국 2만3천722가구로 전년 동기(1만1천867가구) 대비 99.9%(1만1천855가구) 증가했다.
전월(2만2천872가구)과 비교하면 6.1%(1천392가구) 늘었다.
이는 2013년 9월(2만4천667가구) 이후 11년 5개월 만에 최대 규모다.
전국 악성 미분양의 80.8%는 지방(1만9천179가구)에서 나왔다.
건물을 다 짓고도 팔리지 않은 아파트 10채 중 8채는 지방에 있는 셈이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3천67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북(2천502가구), 경남(2천459가구), 전남(2천401가구), 부산(2천261가구), 제주(1천658가구), 충남(1천157가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2천212가구, 인천 1천679가구, 서울 652가구로 집계됐다.
전국 17개 시도별로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악성 미분양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울산(312.9%)으로 집계됐다.
경북(216.7%), 대구(182.7%), 인천(182.0%), 전북(171.8%), 충북(161.6%) 등은 뒤를 이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지방(100.2%)이 수도권(98.82%)보다 커 지방의 악성 미분양이 더욱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모양새다.
전국의 일반 미분양은 7만61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8.0%(5천187가구) 증가했다.
다만 전월과 비교하면 3.5%(2천563가구) 감소했다.

(평택=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정부가 지방 건설경기를 짓누르는 미분양 해소를 위해 '악성 미분양' 3천가구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들이는 방안을 내놓았다.또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구입하면 디딤돌대출 때 이자를 낮춰주는 우대금리를 신설한다.정부는 19일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발표했다.사진은 이날 경기도 평택시 한 아파트 견본주택 모습.2025.2.19 cityboy@yna.co.kr
아파트 공사비는 적게는 수백 억원에서 많게는 수 천억원에 이르는데 분양이 되지 않으면 건설사의 자금 회수에도 차질이 빚어지기 때문에 미분양은 부동산 시장뿐 아니라 건설업계에도 위기를 초래한다.
최근 자금난을 버티지 못하고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한 건설사 중에는 대저건설, 제일건설, 대흥건설 등 지방의 대표 건설사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미분양 문제가 심각해지자 정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약 3천 가구를 매입하고, 디딤돌 대출 우대금리를 지원하는 등 추가 대책을 발표했다.
다만 이런 정책들이 시장에서 실제 효과를 발휘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인 데다 특히 지방의 경우 적체된 미분양 물량이 워낙 많아 단기간 해결은 어려울 것으로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그간 분양 물량 조절이 안 되다 보니 (시장이) 안 좋은 시기에도 어쩔 수 없이 물량이 나오고 있어 사려는 사람은 사실상 없고 건설사 입장에서도 자금조달이 어렵게 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LH의 매입은 심폐소생술 정도인 것이고 근본적인 수요, 시장이 살아나야 되는데 현재 정치적인 불확실성까지 더해져서 (침체가) 장기화하고 있어 당장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표] 전국 준공 후 미분양 물량
2025년 2월 | 2024년 2월 | |
서울 | 652 | 503 |
인천 | 1,679 | 599 |
경기 | 2,212 | 1,183 |
대구 | 3,067 | 1,085 |
부산 | 2,261 | 1,165 |
광주 | 416 | 223 |
대전 | 580 | 436 |
울산 | 995 | 241 |
강원 | 658 | 588 |
충북 | 565 | 216 |
충남 | 1,157 | 854 |
세종 | 55 | 55 |
전북 | 405 | 149 |
전남 | 2,401 | 1,302 |
경북 | 2,502 | 790 |
경남 | 2,459 | 1,251 |
제주 | 1,658 | 1,227 |
계 | 23,722 | 11,867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삼성 '비스포크 AI 콤보', 전국 1천개 매장으로 판매 확대
-
2
인천시, 청년 창업가 해외 진출 맞춤형 지원…25명 모집
-
3
'7년째 공사' 광주지하철 도로공사 완료 18% 불과…불편 가속
-
4
CU, 강아지 캐릭터 '가나디' 협업 우유 2종 선보여
-
5
신한은행, 부산에 디지털금융 교육센터 '학이재' 열어
-
6
CCTV에 에스원 'AI 에이전트' 탑재하니…"사고 대응법도 지시"
-
7
경기도 '청년기회사다리금융' 2차공급…7천억 규모·14만명 지원
-
8
인천경제청, 'K-콘 랜드' 사업 전략 구체화…예산 확보
-
9
현대백화점, 5월 가정의달 맞아 '어린이 그림그리기 대회' 개최
-
10
"월드옥타 명칭 변경 추진"…박종범 회장 일방 공표에 '시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