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재개 1주일, 외국인 컴백 기대했는데…돌아온 건 '6조 투매'

금지 이전보다 거래대금 늘었지만…관세·탄핵에 외인 투심 급랭공매도 잔고 쌓인 이차전지주 급반등에 수익률 '마이너스'
조민정

입력 : 2025.04.06 07:00:05


공매도 재개 첫날, 2,500선 내준 코스피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지난 1년 5개월간 금지됐던 공매도가 전면 재개된 3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4.54포인트(1.74%) 내린 2,513.44에, 코스닥은 10.34포인트(1.49%) 내린 683.42에 개장했다.2025.3.31 yatoya@yna.co.kr

(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 = 지난달 31일 공매도 재개 이후 일주일간 공매도 금지 이전보다 많은 수준의 공매도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4일까지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공매도 거래금액은 6조4천82억원으로, 일평균 1조2천816억원의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당국이 공매도를 전면 금지한 2023년 11월 6일 직전 한 달간(10월 4일∼11월 3일) 공매도 거래액은 일평균 7천884억원이었다.

1년 반 만의 공매도 재개 이후 거래액이 당시보다 약 63% 증가한 수준이다.

공매도 거래액을 투자자별로 보면 외국인이 코스피에서 90%, 코스닥에서 87%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기관은 코스피 9%, 코스닥 12%의 비중이었다.

시장은 공매도 재개로 롱숏 투자가 가능해지면 외국인 자금이 시장이 유입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지난 한 주간 외국인은 양 시장에서 닷새 내리 매도세를 이어가면서 코스피 시장에서 5조8천625억원의 자금을 순유출했다.

코스닥에서도 6천417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의 지난주 코스피 순매도 규모는 주간 기준으로 지난 2021년 8월 13일(7조262억원) 이후 4년 7개월여만에 최대치다.

코스피·코스닥 지수는 같은 기간 각각 3.62%, 0.92% 하락했다.

공매도 재개 이후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로 인한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강하게 발동하면서, 지난 2009년과 2021년 공매도 재개 당시 외국인 매수세가 증시 상승을 이끌었던 것과는 다른 분위기다.

한편, 증시 하락에도 공매도 수익률은 그리 좋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공매도 특성상 주가가 하락해야 수익을 낼 수 있는데, 공매도의 주 타깃인 이차전지주가 4일 급반등했기 때문이다.

지난 2일 기준 공매도 보유잔고(공매도 뒤 미상환 물량)가 가장 많은 종목은 LG에너지솔루션[373220]이고, 셀트리온[068270], 에코프로비엠[247540], 포스코퓨처엠[003670], 에코프로[086520], SK하이닉스[000660], 삼성전자[005930] 순이다.

공매도 투자자가 이들 주식을 공매도 평균 단가(공매도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나눈 값)에 팔고 4일 종가로 사서 갚았다고 가정했을 때 수익률은, LG에너지솔루션이 평균단가와 4일 종가가 같아 0%였고, 셀트리온은 -2.47%, 에코프로비엠은 -7.45%였다.

포스코퓨처엠(-6.28%) 역시 공매도 수익률이 마이너스였다.

반면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에 투자한 공매도 투자자는 7.93%, 4.59%의 수익을 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계산한 코스피·코스닥 공매도 상위 10개 종목의 수익률은 평균 -1.69%로 나타났다.

chomj@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07 03:3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