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5.04.02 14:43:08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 주 요 테 마 |
강세 테마 | 골프, 재택근무/스마트워크,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패션/의류, 건설 중소형, 그래핀, 광고, 스마트홈(홈네트워크), 리모델링/인테리어, 조선,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등... |
약세 테마 | 전선, 정유,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2차전지(생산), 탄소나노튜브(CNT), 리튬, 제대혈, 뉴로모픽 반도체, 콜드체인(저온 유통), 모듈러주택, 면역항암제, 강관업체(Steel pipe), 유전자 치료제/분석, 자원개발, 2차전지(전고체), 토스(toss), 2차전지(소재/부품), 희귀금속(희토류 등),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의료AI, 줄기세포, 해운,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석유화학, 비만치료제,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비료, 치매, 초전도체 등... |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화장품 | 올해 1분기 화장품 수출 '역대 최대'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1~3월 화장품 수출 규모가 역대 최대 수출액을 기록한 지난해 1분기보다 13.0% 증가한 26억달러(잠정)를 기록해 역대 1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힘. 역대 두 번째 수출액을 기록한 2021년 1분기 수출액 22억달러와 비교하면 18.2% 증가했음. 국가별로는 중국이 5억2,000만달러로 가장 많았고, 미국(4억4,000만달러), 일본(2억7,000만달러) 순이었으며, 제품군 중에서는 기초화장품이 가장 많았으며, 색조화장품, 인체 세정 용품이 뒤를 이었음. ▷이와 관련, 식약처 관계자는 "우리 화장품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 중국 등 주요 수출국과 규제 외교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며, "올해는 중동, 남미 등 수출 전망이 높은 신흥 시장에 대한 정보를 '화장품 글로벌 규제 조화 지원센터'에 공개할 것"이라고 언급. ▷아울러 최근 중국내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이 같은 소식 속 펌텍코리아, 클래시스, 실리콘투, 잇츠한불, 선진뷰티사이언스, 잉글우드랩 등 일부 화장품 테마가 상승. | |
정치/인맥(이재명) | 헌법재판소, 오는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영향 지속 속 상승 |
▷헌법재판소는 오는 4일 오전 11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을 선고할 예정. 탄핵소추안이 지난해 12월14일 국회에서 국회의원 재적 300명 중 204명이 찬성하며 가결된 이후 111일만에 인용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탄핵심판 선고일은 마지막 변론 기일 기준으로는 38일만임. 헌재는 전날 평의에서 윤 대통령 탄핵 사건에 대한 인용·기각·각하 의견을 밝히는 평결을 진행해 큰 틀에서 결론에 대한 합의를 이룬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오리엔트정공, 오리엔트바이오, 동신건설, 형지글로벌, 형지I&C, 비비안 등 정치/인맥(이재명) 테마가 상승. | |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 베트남 정부, 한국산 철강 제품에 반덤핑 관세 부과 소식 및 3월 철강 수출 부진 등에 하락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베트남 정부가 지난 1일(현지시간)부터 중국과 한국산 아연도금강판 등 수입되는 도금강판 일부 제품에 대해 15.67~37.13%에 달하는 잠정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 것으로 전해짐. 중국산 제품에는 최대 37.13%, 한국산 제품에는 15.67%의 반덤핑 관세가 잠정 적용되며, 이번 결정은 공고일로부터 15일 후에 발효되고, 적용 기간은 발효일로부터 120일인 것으로 알려짐. 이번 조치는 베트남에서 올해 들어 철강 제품에 대해 적용된 두 번째 반덤핑 관세 결정이며, 앞서 지난 2월 21일 베트남 철강 기업인 호아팟 그룹과 포르모사의 제소에 따라 인도 및 중국산 열간압연강판 제품에 대한 19.3~27.8%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바 있음. ▷다만, 이번 잠정 반덤핑관세는 국내 모든 기업들에 부과되지는 않으며, 국내 2위 제철사인 현대제철은 13.7%의 관세를 맞았으나, POSCO를 비롯해 KG스틸, 동국제강 등은 이번 반덤핑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전해짐. ▷미국이 지난달 12일부터 25%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가운데, 전일 산업통상자원부 3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3월 철강 수출은 단가 하락 등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10.6% 감소한 26억 달러를 기록. ▷이 같은 소식 속 POSCO홀딩스, 세아제강, 포스코스틸리온, 현대제철, 대동스틸, 휴스틸 등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가 하락. | |
제약/바이오 관련주 | 美 상호관세 우려 및 美 FDA·CDC 등 보건 당국 소속 직원 대량 해고 소식 등에 하락 |
▷美 상호관세 우려도 부각.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오후 4시, 한국시간으로 4월3일 오전 5시경 국가별로 상호관세율을 발표할 예정. 이러한 가운데, 업계에서는 무관용 관세정책이 의약품에도 시행된다면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곳은 바이오시밀러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인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등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지난 1일(현지시간) 식품의약국(FDA), 질병통제예방센터(CDC)를 포함해 보건 당국 소속 직원 1만명을 해고하기 시작했다고 전해짐. 일부 직원들은 해고 통보를 받은 지 몇 시간 만에 보안 요원에 의해 출입이 차단됐다며, 이번 감원은 보건복지부(HHS) 산하 FDA, CDC와 함께 국립보건원(NIH) 등 주요 기관에 걸쳐 이뤄졌다고 알려짐. 복지부 소속 직원은 현재 8만2,000명이며, 해고되는 1만명 외에 추가로 1만명이 일론 머스크의 정부효율부(DOGE)가 주도하는 이른바 자발적 퇴직 프로그램 등에 따라 부서를 떠날 예정. ▷해고 대상에는 공중보건, 암 연구, 백신 및 의약품 승인 등 핵심 업무 를 수행하던 고위 과학자들도 포함돼 있어, 현재 확산 중인 홍역 및 조류 인플루엔자 등 보건 위기 대응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복지부 장관은 이번 감원이 "비대해진 관료 조직을 정비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한올바이오파마, 유한양행, 바이넥스, 셀트리온, 코오롱생명과학, 한미약품 등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유전자 치료제/분석, 면역항암제, 코로나19 등 전반적인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하락.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03 14:58
펌텍코리아 | 54,200 | 200 | +0.37%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