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입력 : 2025.02.26 11:14:15
제목 :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특징종목이슈요약
풀무원
(017810)
해외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감 등에 급등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연결 매출액 및 영업이익을 각각 3조 4,145억원(YoY +6.2%), 1,093억원(YoY +18.7%)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식품서비스유통 부문은 아파트/군대/실버 등 상대적 고마진 채널로의 수주 확대에 따른 견조한 마진 개선을 기대하며, 해외 법인 합산 손익은 2024년 -64억원에서 올해 50억원으로 흑자전환할 것으로 추정. 이와 관련, 미주는 아시안푸드 현지 생산 확대 효과가 손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며, 일본은 ‘두부바’ 중심의 포트폴리오 재편 효과가 가시화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분석.
▷한편, 동사의 지난해 4분기 연결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8,177억원(YoY +7.3%), 263억원(YoY +137.9%)을 시현했다며, 시장 기대를 상회했다고 언급. 전년동기 대비 약 150억원이 증가했는데 전 사업부에서 고르게 개선되었다고 밝힘.
NICE
(034310)
지난해 실적 호조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03조원(전년대비 +7.74%), 영업이익 1,821.22억원(전년대비 +87.78%), 순이익 1,102.10억원(전년대비 +480.04%).
시프트업
(462870)
'승리의 여신: 니케' 中 진출 기대감 등에 상승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승리의 여신: 니케' 중국 진출 등으로 올해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텐센트를 통해 올해 2분기 중 출시 예정인 니케가 사전 예약자 수 약 320만명을 달성했으며 텐센트의 목표치가 800만명으로 설정 돼 향후 공격적인 마케팅이 예상된다고 언급. 이어 기존 글로벌 캐릭터와 크게 차이 나지 않아, 한한령 해제 등 최근 완화된 K콘텐츠에 대한 규제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특히, 출시 직후 콘솔 강국인 미국, 영국에서 유명 지식재산권(IP)을 제치고 판매량 1위를 기록한 '스텔라 블레이드'도 오는 6월 스팀을 통해 PC 버전이 출시된다며, 니케의 중국 진출도 앞두고 있어 2025년 큰 폭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언급.
▷아울러 동사는 지난해 1인당 4.6억원의 영업이익과 30.3%의 ROE를 시현, 국내 게임사 중 가장 효율적인 게임 개발 구조를 보유하고 있다고 언급. 향후 게임 흥행 시 높은 이익 레버리지와 게임 흥행 실패에도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는 면에서 타사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 부여가 가능하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90,000원[신규]
두산
(000150)
보통주 99만주 소각 계획 발표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중장기 주주 환원(자기주식 소각) 계획 안내 공시. 이와 관련, 3개년(2025년 ~ 2027년) 동안 최소 보통주식 99만주(보통주 발행주식 총수의 약 6%) 이상을 매년 균등하게 소각 예정(연간 33만주, 보통주 발행주식 총수의 약 2%)이라고 밝힘.
SPC삼립
(005610)
SPC그룹, 말레이시아 제빵공장 준공 속 약 3,500조 규모 할랄 시장 공략 기대감에 상승
▷SPC그룹은 언론을 통해 말레이시아 조호르주 누사자야 테크파크에 제빵공장을 준공하고 2조5,000억달러(약 3,575조) 규모의 할랄(HALAL) 식품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밝힘. 파리바게뜨 조호르 생산센터는 동남아시아와 중동을 중심으로 세계 할랄 푸드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는 허브 역할을 맡을 예정.
▷아울러 조호르 생산센터에서 계열사인 동사의 수출용 할랄 인증 제품을 생산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며, 동사는 3월 중 아세안(ASEAN) 법인을 설립하고 조호르 생산센터를 교두보 삼아동남아시아와 중동 지역에서 사업을 펼칠 계획임.
▷이와 관련 허진수 SPC그룹 사장은 “조호르 생산센터 준공은 해외 공급망 강화와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해서 성장할 수있는 견고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할랄 시장 공략의 전략적 거점인 이 공장을 통해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글로벌 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힘.
셀트리온
(068270)
지난해 역대 최고 매출액 달성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55조원(전년대비 +63.44%), 영업이익 4,920.15억원(전년대비 -24.47%), 순이익 4,188.83억원(전년대비 -22.38%). 특히, 매출액은 3조5,000억원대를 돌파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
▷24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06조원(전년동기대비 +178.00%), 영업이익 1,964.04억원(전년동기대비 +966.08%), 순이익 2,355.69억원(전년동기대비 +51,901.98%). 24년4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05조원(전년동기대비 +235.96%), 영업이익 4,075.21억원(전년동기대비 +1,476.91%), 순이익 3,785.78억원(전년동기대비 +1,223.19%).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24년4분기 영업이익이 매출원가와 판관비 일회성 비용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지만, 올해는 합병에 따른 제조 및 판매에 대한 영업이익 개선, 유럽과 미국내 신제품 출시로 인한 직판 효과를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50,000원[유지]
▷한편,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가 연 매출 1조2,000억원을 돌파하며 '대한민국 1호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에 등극한 것으로 전해짐.
HD한국조선해양
(009540)
6,000억원 규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 속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파이프솔루션 유한회사 등 대상 6,000억원 규모의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346,705원, 교환청구일:2025-03-31 ~ 2030-02-28) 공시. 이번 조달 자금을 바탕으로 수소연료전지, 소형모듈원자로(SMR), 해상풍력 등 분야에 연구개발 및투자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으로 전해짐.
포스코인터내셔널
(047050)
국내 최초 '글로벌 매출보험' 1호 증권 발급 소식 속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 기업 최초로 '글로벌 매출보험(유동화)' 1호 증권을 발급받았다고 밝힘. 이번 보험증권의 첫 수혜자는 동사의 싱가포르 법인으로, 이번 상품을 업계 최초로 도입함으로써 국제 무역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낮추고 해외법인의 재무 안정성 향상을 통해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음. 또한, 1호 증권을 발급받을 수 있었던 것은 전 세계 80여 개국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다년간의 국제 무역거래 실적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와 관련 이계인 동사 사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자사 현지법인은 낮은 금리로 운전자금을 확보하고 재무 비율을 개선할 수 있어, 동사의 사업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글로벌 무역금융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밝힘.
하이브
(352820)
성장 모멘텀 보유 분석 등에 소폭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4Q24 연결 실적은 매출액 7,253억원, 영업이익 653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831억원) 대비 -21.4% 하회했다고 밝힘. 아쉬운 실적을 기록했으나 올해 주요 매출원인 공연 및 MD의 질적 개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공연에서는 세븐틴, 엔하이픈, TXT 등 주요 아티스트들의 투어 일정이 반영되면서 역대 분기 최대 공연 매출(1,889억원)을 기록했다고 설명. MD/라이선싱 매출 역시 팝업스토어, 캐릭터 상품 등 기획 MD 판매 호조에 따라 전년 대비 +156.0% 증가하며 당사 추정치 대비 크게 상회했다고 밝힘. 다만, 보이넥스트도어, &TEAM 등 저연차 아티스트들의 첫 월드투어 일정에 따른 공연 원가율 상승, 성과급/주식보상비용 발생 등 아티스트 초기 투자 비용 및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면서 어닝 쇼크를 기록했다고 밝힘.
▷2025년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7조원(+17.8% YoY), 3,665억원(+98.3% YoY)을 전망한다며, BTS 완전체 전역 및 활동 재개, 저연차 아티스트/현지화 그룹 성장, 위버스 수익화 기대감에 따른 이익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힘. 2월 제이홉 투어, 4월 세븐틴, 엔하이픈의 글로벌 페스티벌 출연, 6월 BTS 전역 등 하반기로 갈수록 풍부한 모멘텀이 예정되어 있다고 설명.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80,000원 -> 310,000원[상향]
드림텍
(192650)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17조원(전년대비 +13.81%), 영업이익 276.21억원(전년대비 -18.86%), 순이익 142.31억원(전년대비 -47.20%). 이와 관련, 원재료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밝힘.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04 10:48
풀무원 14,920 410 -2.67%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04 11:08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