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팬데믹 후 경제환경 변화…공급 충격의 시기에 진입"
연준 5년 주기 통화정책 운영체계 개편 착수…환경변화 반영파월 "향후 인플레 변동성 확대 가능성…탄력적 대응 가능하게 할 것"
이지헌
입력 : 2025.05.15 23:00:53
입력 : 2025.05.15 23:00:53

[워싱턴 AFP=연합뉴스.재판매 및 DB 금지]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팬데믹 이후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 환경이 변화했다며 이런 변화를 반영해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운영체계를 개편하는 과정에 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파월 의장은 이날 워싱턴DC 연준 청사에서 열린 연구 콘퍼런스 개회사에서 "2020년 이후 경제 환경이 크게 변화했다"며 "우리의 검토는 이런 변화에 대한 평가를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준은 5년 전(前) 현 통화정책 운영체계를 확정했으며, 올해 들어 새 개편안에 대한 검토를 시작한 상태다.
연준은 5년마다 통화정책 운영체계를 재검토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팬데믹 이후 미국의 실질금리가 상승한 점을 언급하며 "이는 2010년대보다 향후 인플레이션 변동성이 더 확대될 가능성을 반영할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2020년 팬데믹 위기까지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중국산 저가 상품 공급 등 영향으로 일부 기간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준의 2% 목표 수준에 못 미치는 1%대에 머물러 있었다.
하지만 팬데믹 이후 경제 환경이 질적으로 변화하면서 2010년대 나타났던 안정적인 저(低)인플레이션 시기는 끝나고 앞으로는 이전과 질적으로 다른 고(高)인플레이션 국면이 나타날 수 있다고 시사한 것이다.
파월 의장은 이와 관련해 "우리는 더 빈번하고 잠재적으로 더 지속적인 공급 충격의 시기로 진입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경제와 중앙은행에 어려운 도전"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연준은 2010년대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2% 목표 수준을 장기적으로 밑돌면서 인플레이션이 2%를 일시적으로 초과하는 것을 용인하는 방향(평균 인플레이션 목표제)으로 통화정책 운영체계를 수정한 바 있다.
이는 팬데믹 이후 연준이 물가 상승 대처에 '뒷북 대응'을 했다는 한 요인이 됐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파월 의장은 "현재 진행 중인 개편 검토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지난 5년간의 경험에서 우리가 무엇을 배웠는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 앞으로 수개월 내에 통화정책 결정문에 관한 구체적인 변경 사항을 검토 완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준 위원들은 지난주 회의에서 평균 인플레이션 목표제에 대해 비슷한 견해를 확인했다"며 "우리는 새로 개편되는 통화정책 결정문이 광범위한 경제 환경과 발전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pa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뉴욕증시-1보] PPI·소비 둔화 속 이틀째 혼조 마감
-
2
中 전기차 업체 비야디, 헝가리에 유럽 본부 설립
-
3
한국보다 먼저 늙은 나라들은 어떤 선택 했나...퇴직후 재고용? 정년연장·폐지?
-
4
‘머니무브’에 은행들 예금금리 얼마나 올릴까...9월부터 예금자보호 한도 1억
-
5
뉴욕증시, PPI·소비 둔화에도 무덤덤…사흘째 혼조 마감
-
6
학자금 못 갚는 로스쿨생 100명 육박…8년간 3배 늘어
-
7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용수 공급사업 본격화…설계 돌입
-
8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5일) 주요공시]
-
9
대기업 1분기 영업이익 17.1%↑…4.5조 늘어난 SK하이닉스 1위
-
10
농식품부, 7월 11일까지 농촌관광시설 안전 점검
05.16 06:2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