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지방공항 국제선 운항편 50% 가까이 줄여

"장거리·인천공항 집중 전략"…지역 균형발전 저해 우려
손형주

입력 : 2025.05.11 07:49:05


대한항공 여객기
[연합뉴스 자료사진.대한항공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아시아나항공과 합병으로 국내 유일의 대형항공사(FSC)로 남은 대한항공이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김해공항 등 지방 공항에서 국제선 운항 편수를 크게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토교통부 항공 통계에 따르면 김해공항에서 대한항공은 지난해 5천567편(이용객 78만6천946명)을 운항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9천675편(117만1천130명)과 비교했을 때는 42% 감소했고, 2018년 1만794편(145만138명)과 비교했을 때는 48%나 감소했다.

올해 1~3월 김해공항 대한항공 운항 편수는 1천632편으로 2019년 2천580편과 비교해 36% 줄었다.

다른 지방 공항도 대한항공 운항편 감소 폭이 비슷한 수준이다.

지난해 대한항공은 인천과 김포공항을 제외한 전국 지방 공항에서 국제선 6천199편을 운항해 1만1천408편을 운항한 2019년보다 운항 편수가 45% 감소했다.

최근 5월 말부터 부산~일본 대한항공 노선이 감편 운항한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대한항공이 지역민의 편의를 외면했다며 지방 홀대론이 불거져 나왔다.

대한항공은 지방 홀대가 아니라 항공기 제작사로부터 기자재(항공기) 도입이 지연돼 불가피하게 일부 기간 및 노선 운항을 줄인 것이라 해명했다.

하지만 대한항공의 지방 공항 운항 편수 감소는 5년 사이 50%에 가깝지만 같은 기간 인천공항에서는 감소 폭이 5.7% 밖에 되지 않았다.

부산~중국 노선이 코로나19 이전만큼 수요를 회복하지 못하는 탓도 있지만 항공업계는 업계 재편이 진행되며 대한항공이 인천공항 장거리 노선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대한항공이 지방 공항 감편 이유를 항공기 부족이라고 들고 있는데 항공기가 부족한 이유는 전부 인천에 가 있기 때문"이라며 "항공업계가 재편되면서 대한항공은 인천공항에서 독점 노선이 많은 장거리 노선 위주로 운항하고 통합 LCC(진에어)는 지방 공항에서 단거리 노선 위주로 운영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대한항공이 계열사(진에어·에어부산)와 중복 노선을 피하고 LCC와 가격 출혈 경쟁이 심한 단거리 국제선과 국내선 운항 편수를 계속 줄일 것으로 보인다"며 "부산~인천 환승 전용 내항기를 운항하고 있기 때문에 김해공항에서 장거리 노선을 운항할 이유도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국내 유일의 대형항공사의 이런 경영 전략이 지역균형발전을 저해한다는 지적도 있다.

최인찬 신라대학교 항공운항과 교수는 "정부의 압박이 없으면 민간기업이 이익 추구를 위해 인천공항에 집중하는 것이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의 논리"라면서도 "다양한 노선을 운항할 여력이 있는 국내 유일의 대형항공사가 인천공항 집중으로 운항한다면 지역균형발전에는 좋지 않다"고 말했다.

handbrother@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1 12:1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