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가상자산 57조 유출 절반이 달러 스테이블코인
최근도 기자(recentdo@mk.co.kr)
입력 : 2025.05.08 17:43:37 I 수정 : 2025.05.08 20:30:16
입력 : 2025.05.08 17:43:37 I 수정 : 2025.05.08 20:30:16
업비트 등 5대 거래소 집계
스테이블 유입도 27조원 달해
시세 차익보다 자산 이전 수요

올해 1분기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서 해외로 전송된 가상자산 중 절반은 스테이블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자산 이전을 위한 주요 통로로 자리 잡은 셈이다. 8일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국내 5대 가상자산거래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3월 국내 거래소에서 유출된 가상자산은 총 56조8067억원이다. 이 중 47.30%인 26조8706억원이 테더(USDT)와 USDC 등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다.
다만 순유출은 아니다. 전체 코인의 경우 64조7767억원어치가 국내 거래소로 유입됐다. 스테이블코인은 26조9002억원어치가 유입됐다.
스테이블코인은 시세차익을 노릴 수 없어 일반적으로 투자용으로 거래되지 않는다. 자산을 해외 거래소 또는 개인 지갑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요가 대부분이다. 특히 스테이블코인은 바이낸스나 바이비트와 같은 해외 가상자산거래소에서 코인을 사기 위한 기축통화이기 때문에 대부분이 이들 거래소를 사용하기 위한 수요다.
스테이블코인 유출 규모는 올 3월 들어 크게 감소했다. 가상자산 시장이 부진하면서 해외 거래소를 이용하기 위한 수요가 덩달아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가상자산 분석 업체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국내 스테이블코인 거래대금은 올해 1월과 2월에 각각 26조6239억원, 22조9292억원을 기록했는데, 3월 들어 11조6308억원 수준으로 급감했다.
[최근도 기자]
스테이블 유입도 27조원 달해
시세 차익보다 자산 이전 수요

올해 1분기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서 해외로 전송된 가상자산 중 절반은 스테이블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자산 이전을 위한 주요 통로로 자리 잡은 셈이다. 8일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국내 5대 가상자산거래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3월 국내 거래소에서 유출된 가상자산은 총 56조8067억원이다. 이 중 47.30%인 26조8706억원이 테더(USDT)와 USDC 등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다.
다만 순유출은 아니다. 전체 코인의 경우 64조7767억원어치가 국내 거래소로 유입됐다. 스테이블코인은 26조9002억원어치가 유입됐다.
스테이블코인은 시세차익을 노릴 수 없어 일반적으로 투자용으로 거래되지 않는다. 자산을 해외 거래소 또는 개인 지갑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요가 대부분이다. 특히 스테이블코인은 바이낸스나 바이비트와 같은 해외 가상자산거래소에서 코인을 사기 위한 기축통화이기 때문에 대부분이 이들 거래소를 사용하기 위한 수요다.
스테이블코인 유출 규모는 올 3월 들어 크게 감소했다. 가상자산 시장이 부진하면서 해외 거래소를 이용하기 위한 수요가 덩달아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가상자산 분석 업체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국내 스테이블코인 거래대금은 올해 1월과 2월에 각각 26조6239억원, 22조9292억원을 기록했는데, 3월 들어 11조6308억원 수준으로 급감했다.
[최근도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이거 사두면 돈맛 좀 볼걸?”…베스트 애널리스트가 찍은 ‘3각 편대’
-
2
다양하게, 오랫동안, 반복해서…“투자 격변기일수록 기본으로 돌아가라”
-
3
경찰, 백종원 '닭뼈 튀김기 가맹점 공급 의혹'도 내사
-
4
SKT 유영상 "신뢰회복위서 피해와 해킹 관련성 판단할 것"(종합2보)
-
5
빗썸 "수익률 상위 100명, 일 평균 1천478만원 거래"
-
6
머스크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 서비스 인도정부 승인 얻어
-
7
[1보] 영국, 기준금리 연 4.25%로 0.25%p 인하
-
8
필리핀 1분기 성장률 5.4%…관세 불확실성에 소폭 부진
-
9
트럼프, 영국과 첫 무역합의 확인…"다른 많은 합의 뒤따를 것"
-
10
[2보] 영국, 기준금리 연 4.25%로 0.25%p 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