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신규가입 중단 첫날…"그래서 유심 교체 언제" 소비자 분통
집단소송 카페 회원 7만명 넘어…600명 이상 참가 의사
김주환
입력 : 2025.05.05 14:44:53
입력 : 2025.05.05 14:44:53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유심(USIM) 해킹 사태가 발생한 SK텔레콤이 신규 가입 업무 중단을 시작한 5일 서울 시내의 한 SK텔레콤 직영점에 관련 안내문이 붙어있다.2025.5.5 hwayoung7@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SK텔레콤[017670]이 유심(USIM) 정보 해킹 사태로 신규 고객 가입을 중단한 첫날, 온라인상에는 여전히 유심 교체가 늦어지고 있다며 불만을 토로하는 게시물이 여럿 올라왔다.
SKT는 어린이날인 5일 오프라인 일일 브리핑에서 "현재까지 유심 교체는 100만명 정도이고, 교체 예약 신청자는 770만명"이라며 전국 매장에서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유심 교체 물량이 20만 개 안팎이라고 밝혔다.
연휴가 지나 공항 수요가 해소되고 나면 일반 대리점에 유심 물량을 공급하고, 이달 말까지 500만 개의 유심을 추가 확보해 소비자의 교체 요구에 대응하겠다고도 밝혔다.
그러나 이같은 조치가 적용된 첫날에도 온라인상에는 여전히 유심 교체가 느리다는 불만 섞인 게시물이 여럿 올라왔다.
한 엑스(X·옛 트위터) 이용자는 SKT 측 발표 기사를 공유하며 "유심 교체 예약 사이트가 오픈하자마자 한 시간도 안 돼 바로 예약했는데 아직도 교체하러 오라는 연락을 못 받았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유심(USIM) 해킹 사태가 발생한 SK텔레콤이 신규 가입 업무 중단을 시작한 5일 서울 시내의 한 SK텔레콤 직영점에 관련 안내문이 붙어있다.2025.5.5 hwayoung7@yna.co.kr
다른 알뜰폰 이용자는 "유심 무료 교체를 신청한 지 딱 일주일만에 새 유심을 택배로 받았다.
SKT 서비스가 알뜰폰보다 못하다니"라며 여전히 택배를 통한 유심 교체가 불가능하다고 꼬집었다.
약정 기간이 남아 위약금 때문에 번호이동이 꺼려진다는 반응도 나왔다.
한 디시인사이드 이용자는 "사태 터진 이후 신규 악성코드가 발견됐다는 소식까지 들려 불안하다"며 "위약금만 없었어도 다른 통신사로 미련 없이 도망가는데 답답하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의원실에 따르면 국회 입법조사처는 해킹 사태 관련 질의에 "SKT의 귀책 사유로 해킹이 발생해 고객이 해지를 요구할 경우 약관을 근거로 위약금을 면제할 수 있다"는 취지의 해석을 내놨다.
SKT는 이날 브리핑에서 입법조사처 해석에 대해 "내부적으로 여러 가지 측면에 대해 검토하고 있고, 결론이 나지 않았다.
결론이 나면 저희가 입장을 밝히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네이버에 개설된 'SK텔레콤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 카페'에는 이날 정오까지 1천여명이 넘는 가입 인사 게시물이 올라왔다.
전체 회원 수는 약 7만4천명에 달했으며, 게시물을 통해 참여 의사를 밝힌 사람 수는 600명을 넘겼다.

(서울=연합뉴스) 이승연 기자 = 지난 28일 서울의 한 SK텔레콤 대리점 앞에 유심을 교체하기 위해 찾아온 사람들이 대기 중이다.2025.4.28 [촬영 이승연]
한 카페 회원은 이날 "직장인이라 점심시간에만 대리점에 갈 수 있는데 선착순이라 늦었다"며 "일 중간에 눈치를 보며 나가도 허탕을 쳤는데 정신적 스트레스"라고 말했다.
이에 다른 회원은 "예약이라면 순번이라도 알려야 하는데 깜깜이 예약이라 분통이 터진다"고 댓글을 남겼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는 이달 8일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을 다루는 청문회를 별도로 개최하기로 하고,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juju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벌금 3천만원 낼 판국입니다”...자영업자 분노하게 한 ‘장애인용 키오스크 의무화’
-
2
“지금 아니면 못사”...흥분 못 감추는 투자자들, 정치테마주 빚투 급증
-
3
전국 최대 옹기 집산지서 열린 울산옹기축제 폐막
-
4
포항 호미곶 해상서 길이 7m 밍크고래 혼획…7천619만원에 낙찰
-
5
[단독] “이거 대박이야, 돈 좀 되겠어”...‘꿀맛 이자’로 유혹나선 저축은행 모임통장
-
6
“도대체 어떻게 하라는거야”...규제만 지르는 정부, 대책없는 키오스크 정책
-
7
“새벽에 갑자기 약 필요하면 어쩌죠”...약사 눈치 보느라 손 못대는 상비약 규제
-
8
처치 곤란 쓰레기 재탄생 시킨다…버려진 전동킥보드 배터리 재활용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