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연구자 54% 中에서만 교육받아…美 인적자본 우위 붕괴"
美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 201명 분석…"美 교육·경력 24% 불과""기술 리더십 미래, 빠른 칩·더 큰 모델과 인재 경쟁 우위에 달려"
김태종
입력 : 2025.05.02 03:54:54
입력 : 2025.05.02 03:54:54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주요 연구진 200여명 중 절반 이상이 중국에서만 교육받고 그 기관에 소속돼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미국 싱크탱크인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는 최근 '딥시크 AI의 인재 분석과 미국 혁신에 대한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딥시크가 2024년 1월부터 2025년 2월까지 1년간 발표한 5편의 논문에 이름을 올린 200여명의 출신 학교와 주요 경력 등을 조사·분석했다.
이 기간 논문에 관여한 연구자는 모두 232명으로, 이 중 알려진 소속 기관 데이터가 있는 201명을 조사 대상으로 했다.
분석 결과 201명 중 111명(54%)이 중국에서만 교육받고 중국 연구기관 등에 소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의 교육이나 경력 경험이 없다는 것이다.
과거나 현재에 한 번 이상 중국 기관에 소속된 적이 있는 연구자는 전체 약 90%인 197명(89%)에 달했다.
반면, 미국에서 공부하거나 이력을 쌓은 적이 있는 연구자는 전체 4분의 1 수준인 49명(24.3%)에 불과했다.
또 201명 중 171명(85%)은 중국 기관에 소속돼 있었지만, 현재 미국 기반 소속 기관을 가진 연구자는 15명(7%)밖에 되지 않았다.
아울러 논문 5편 모두에 기여한 연구자는 31명으로, 보고서는 이들을 '핵심 팀'이라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이번 분석은 서구의 전문 지식에 의존하지 않고 중국이 국내에서 세계적 수준의 AI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역량을 보여주는 증거"라며 "이 집단을 형성하는 데 있어 미국의 역할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잘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이어 "딥시크 사례는 미국 기술 정책의 치명적인 사각지대, 즉 인적 자본 우위의 붕괴를 보여준다"며 "수출 통제나 컴퓨팅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미국은 규제만으로 기술적 우위를 유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시대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국내외에서 최고의 인재를 양성하고 유치하고, 유지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며 "딥시크가 그 신호탄이라면 기술 리더십의 미래는 더 빠른 칩이나 더 큰 모델뿐만 아니라 글로벌 인재 경쟁에서의 전략적 우위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taejong75@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2
[샷!] "이젠 전기 없으면 그냥 석기시대"
-
3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일) 주요공시]
-
4
美 법원 "애플, 법원 명령 준수 안해"…이례적 檢 조사 요청
-
5
한미, '관세 기술협의' 마무리…"본격 협상 전 협의 윤곽 잡아"
-
6
[게시판] 서울시-농촌진흥청, 29∼31일 곤충경진대회
-
7
롯데마트 토이저러스, 영실업·뽀로로 완구 최대 40% 할인
-
8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9
[게시판] 코트라, 칠레서 '코리아 디펜스 데이'…K-방산기술 소개
-
10
애플, 1∼3월 매출 5%↑·순이익 4.8%↑…시간외 주가 2%↓(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