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있는 꿈”...국민들 가장 중요한 재무목표는 ‘주택 구입’
김정환 기자(flame@mk.co.kr)
입력 : 2025.04.29 10:18:03 I 수정 : 2025.04.29 10:32:30
입력 : 2025.04.29 10:18:03 I 수정 : 2025.04.29 10:32:30
한은·금감원 국민 금융상황 조사
26% “내집마련 자금 목표 1순위”
자산 증식·결혼자금 마련도 관심
전체 금융이해력은 2년 새 하락
26% “내집마련 자금 목표 1순위”
자산 증식·결혼자금 마련도 관심
전체 금융이해력은 2년 새 하락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를 29일 내놨다. 전국 18~79세인 2400가구를 대상으로 면접 조사해 국민들의 금융 지식과 태도를 측정하는 격년 단위 조사다.
장기 재무목표가 있는 성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재무 목표로는 주택 자금이 25.8%로 첫 손에 꼽혔다. 자산 증식(19.9%), 결혼 자금(13.9%) 등이 뒤를 이었다. 주택 자금은 직전 조사가 이뤄졌던 2022년(24.8%) 보다 1%포인트 더 늘었다.
다만 노후 대비(15.2%->8.7%), 교육비·학자금(12.4%->7.4%)에 대한 중요성은 크게 낮아졌다. 지난해 체감 경기가 팬데믹 국면에 버금갈 만큼 심해지면서 우선순위에서 밀렸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 이해력 점수는 65.7점으로 2022년(66.5점)에 비해 소폭 낮아졌다. 금융 지식을 묻는 항목 중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실질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력(78.3점->56.6점)이 크게 떨어지며 전체 점수를 끌어내렸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물가가 예년 수준으로 하락하면서 일반인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관심이 낮아진게 결과에 반영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2022년 전년 대비 5.1% 급등했던 물가는 지난해에는 2.3%로 둔화됐다.

금감원은 “금융 지식 부문에서 인플레이션이 실질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고, 소득과 지출을 관리하는 활동이 전반적으로 취약했다”며 “맞춤형 금융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다”고 밝혔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드디어 박스권 탈출하나”…옛 ‘황제주’ LG생건 목표가 상향에 주가 ‘활짝’
-
2
현대건설, 1분기 영업이익 2137억원…적자 딛고 실적 턴어라운드
-
3
“짜릿한 맛이 없네”...‘도파민’ 떨어진 국내 코인시장, 거래대금 절반수준으로 ‘뚝’
-
4
HD현대, 주당 900원 현금배당 결정
-
5
에코프로비엠, 영업이익 감소 공시에 주가 약세
-
6
정치인 ETF 사라지나…美서 의회 내 주식거래 금지 ‘펠로시법’ 재발의
-
7
텔코웨어, 28.60억원 규모 공급계약(25년 가상화 장비 기술지원) 체결
-
8
투자주체별 매매동향 / 프로그램 매매동향
-
9
휴먼테크놀로지(175140) 상승폭 확대 +10.02%
-
10
루미르, 121.50억원 규모 신규 시설투자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