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랏빚 비상' 적자성 채무 900조원 육박…증가율 10%대 회귀
세금으로 갚아야 할 빚 11.8% ↑…전채 채무 대비 비중 70% 근접'2차 추경'시 재정 부담 가중…'GDP 대비 국가채무 50%'도 위험
박재현
입력 : 2025.04.20 06:03:17
입력 : 2025.04.20 06:03:17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박재현 기자 = 올해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편성에 따라 국민 세금으로 갚아야 할 '적자성 채무'가 900조원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늘어난다.
전년 대비 증가율도 코로나19의 여파가 있던 2022년 이후 3년 만에 다시 10%대로 올라섰다.
국가채무에서 적자성 채무가 차지하는 비중도 70%에 근접했다.
2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12조2천억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하면서 국가채무가 6조원 증가한다고 밝혔다.
늘어나는 채무는 모두 적자성 채무다.
적자성 채무는 대응하는 자산이 없거나 부족해 국민에게 거둬들이는 조세 등을 재원으로 해 상환해야 하는 채무다.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국민주택채권처럼 대응 자산이 있어 자체 상환이 가능한 금융성 채무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기획재정부 김동일 예산실장(왼쪽 네 번째)이 지난 17일 정부세종청사 민원동 공용 브리핑실에서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상세 브리핑을 하고 있다.2025.4.18 scoop@yna.co.kr
이번 추경으로 올해 적자성 채무는 885조4천억원이 된다.
792조3천억원이었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1년 새 11.8%가 늘었다.
적자성 채무는 2015년 330조8천억원으로 300조원을 넘어선 뒤 2019년 407조6천억원 등으로 꾸준히 증가해왔다.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매해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가파르게 늘었다.
이후 재정 건전성을 강조하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며 적자성 채무 증가율은 한 자릿수로 떨어졌지만, 누적된 세수 결손에 추경까지 더해지면서 올해 다시 10%대로 회귀했다.
전체 국가채무(1천279조4천억원)에서 적자성 채무가 차지하는 비중도 69.2%로 작년(66.3%)보다 늘어난다.
올해 전체 나랏빚 중 70%가량이 국민 혈세로 갚아야 하는 몫이라는 의미다.

[김민아 제작] 일러스트
문제는 올해 추경이 이번 한 번으로 끝날 가능성이 작다는 점이다.
내수 부진 장기화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1분기 역성장 경고등까지 켜진 만큼, 대선 이후 새 정부가 출범하게 되면 경기 부양을 위한 '2차 추경'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현재 상황에서는 다음 추경 편성 역시 적자국채 발행을 주 재원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고스란히 적자성 채무로 편입돼 재정에 직접적인 부담이 된다.
만약 2차 추경 규모가 34조원보다 크다면 전체 국가채무 대비 적자성 채무의 비중은 올해 바로 70%를 넘어서게 된다.
2차 추경이 42조3천억원을 넘는 규모로 편성되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도 50%를 넘어선다.
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3년 연속 세수 결손' 우려가 커지는 점도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추경 브리핑에서 "세수 측면에서 불확실성, 하방 요인이 커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올해 세수 결손 가능성을 시사했다.
재정 지출이 당초 계획보다 커지는 상황에서 수입마저 줄어든다면 재정 건전성은 빠른 속도로 악화한다.
이 같은 상황이 계속된다면 국가 신용등급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trauma@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증시신뢰·주주권익 해치는 '쪼개기 상장' 선 넘어…막을 해법 없나
-
2
한국증시 밸류업 발목잡는 중복상장…대기업 논란에 파열음 계속
-
3
'악성 미분양' 또 늘어 2만4천가구…11년 5개월 만에 최대
-
4
반강자성체서 빛 유도 양자간섭 현상 발견…"반도체 응용 기대"
-
5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 150원 오른다…행정절차 마무리 수순
-
6
[특파원시선] 미국과 '졸속합의' 불안 키우는 통상협상 비밀주의
-
7
강의 중 '찰칵 찰칵'…놀라지 마세요, 챗GPT로 필기 중이랍니다
-
8
"에너지 산업의 미래를 본다"…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23일 개막
-
9
투썸·KFC·버거킹, 최대실적에도 가격인상…"소비자 외면" 비판
-
10
"무더위 오기 전에 에어컨 점검"…LG 씽큐 자가점검 2배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