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에 中 손놓는 K-배터리…中기업과 합작 지연·취소

LG엔솔·화유코발트 착공 지연…SK온·에코프로·GEM 합작 무산
한지은

입력 : 2025.04.17 06:10:00


LG에너지솔루션-화유코발트,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JV) 설립 계약 체결식
(서울=연합뉴스) 지난 7일 중국 저장성 화유코발트 본사에서 열린 LG에너지솔루션-화유코발트의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 계약 체결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앞줄 오른쪽부터 LG에너지솔루션 양극재 구매담당 한동훈 상무, 화유 리사이클 빠오웨이 CEO.2023.8.8 [LG에너지솔루션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한지은 기자 =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중국 기업과의 합작 사업을 접거나 미루고 있다.

전기차 산업 급성장에 발맞춰 협력 확대에 나섰으나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에 이어 미국의 대중국 무역 정책 등 통상 불확실성이 켜치면서 속도 조절에 나서는 모습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1위 코발트 생산업체 화유코발트와 설립한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JV)의 공장 설립을 순연했다.

양사는 2023년 8월 합작법인 계약 체결식을 열고 중국 장쑤성 난징시, 저장성 취저우시에 각각 전(前)처리 공장, 후(後)처리 공장을 세운다는 계획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에는 2023년 하반기 공장 건설을 시작해 2024년 말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현재까지 착공도 안됐다.

합작공장에서 메탈을 생산해 LG에너지솔루션의 난징 배터리 생산공장에 공급할 계획이었지만, 캐즘 여파로 리사이클 사업의 동력이 약해졌기 때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화유코발트 측과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를 유지하며 향후 시장 상황을 고려해 공장 설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공장 건설과 관련해 시장 상황이 많이 달라져 일부 계획에 수정이 있는 건 사실"이라며 "리사이클 관련 사업 관계는 계속 이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SK온·에코프로·GEM, 인니에 니켈 중간재 생산공장 설립 협약
(서울=연합뉴스) 신영기 SK온 구매담당(앞줄 가운데), 박상욱 에코프로 부사장(앞줄 오른쪽), 지앙 미아오 GEM 부총경리(앞줄 왼쪽)가 지난 2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사옥에서 인도네시아 니켈 중간재 생산법인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관계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2022.11.25 [SK온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SK온과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중국 GEM이 2023년 추진한 3자 합작법인 지이엠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 설립은 끝내 무산됐다.

3사는 최대 1조2천100억원을 투자해 2024년까지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 연산 5만t 수준의 전구체 공장을 지을 계획이었다.

그러나 캐즘 장기화와 함께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해외우려기관(FEOC) 등 규제 불확실성이 심화하면서 밸류체인에 변수가 발생했다.

에코프로는 "변수로 충분한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부득이하게 설립을 취소하기로 결정했다"며 "공장 건설 전 법인 설립을 취소해 자본금 손실은 없다"고 설명했다.

포스코홀딩스가 중국 CNGR와 손잡고 그룹 차원에서 추진하던 이차전지용 니켈 합작 공장 신설 프로젝트도 중단된 상태다.

포스코그룹은 작년부터 그룹 이차전지 소재 사업을 리튬 중심의 광산 확보와 함께 현재 가동 중인 법인의 내실을 기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LG화학은 중국 화유그룹 산하 유산과 모로코에 연산 5만t 규모의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합작공장을 짓기로 한 계획을 2026년에서 2027년 양산으로 미뤘다.

포스코그룹-CNGR '니켈 및 전구체 합작공장 착공식'
(서울=연합뉴스) 31일 포항 영일만4산업단지에서 열린 포스코그룹과 중국 CNGR의 니켈 및 전구체 합작공장 착공식에서 참석자들이 착공 버튼을 누르고 있다.왼쪽부터 이동업 경상북도의회 의원, 김희수 경상북도의회 의원, 박용선 경상북도의회 부의장, 이상범 포항시의회 의원, 백인규 포항시의회 의장, 김학홍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이강덕 포항시장, 포스코홀딩스 김준형 이차전지소재총괄(부사장), 우샤우거(Wu Xiaoge) CNGR 부회장, 유병옥 포스코퓨처엠 사장, 쭈종위엔(Zhu Zongyuan) CNGR 한국지역 부회장, 천시열 포항제철소장.2024.5.31 [포스코홀딩스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업계의 이런 움직임은 중국산 배터리를 겨냥한 미 바이든 정부의 조치에 이어 트럼프 정부가 중국에 대해 관세 전쟁을 시작한 상황과 맞물려 있다.

바이든 정부서 통과된 IRA 규정상 중국 정부와 관련된 합작사 지분율이 25% 이상인 경우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여기에다 트럼프 행정부가 해당 기준을 강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나아가 미국이 중국 등 FEOC에 대한 규정을 수정할 경우 중국과 공급망이 연결된 국내 기업까지 영향이 미칠 수 있어서다.

다만 캐즘 이후를 고려하면 중국의 풍부한 광물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서라도 중국 기업과의 협업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황경인 산업연구원 실장은 "전기차·배터리 업황이 안 좋아지면서 많은 기업이 투자를 연기하거나 변경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캐즘과 정책 불확실성 때문에 기업들도 상황을 지켜보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준모 율촌 미국변호사는 "국내 기업들이 중국과의 합작을 취소한 배경에는 FEOC가 분명 연관이 있을 것이고, FEOC 변수는 트럼프 정부 들어 더 커졌다"며 "불확실성을 고려해 산업 전반의 분위기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writer@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19 10:3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