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희만 있었어도 내 돈 지키는건데”...오락가락 증시에도 웃은 종목은
정상봉 기자(jung.sangbong@mk.co.kr)
입력 : 2025.04.13 13:08:50 I 수정 : 2025.04.14 06:33:50
입력 : 2025.04.13 13:08:50 I 수정 : 2025.04.14 06:33:50
S&P500 5% 넘게 빠질 때
월마트는 오히려 3% 상승
관세 영향에도 반사수익 기대
헬스케어는 관세 불안감 여전
월마트는 오히려 3% 상승
관세 영향에도 반사수익 기대
헬스케어는 관세 불안감 여전

관세 반사이익과 함께 1분기 실적 시즌 기대감도 있는 반면 관세로 인한 불안정성도 남아있어 향후 차별화가 더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13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따르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가 처음 발표되고 증시 변동이 심해진 4월 2일부터 계산한 월마트의 수익률은 3.39%에 이른다.
같은 기간 S&P500 지수가 –5.42%, 나스닥 지수가-4.98%, 다우산업 지수가 –4.77% 등 하락세를 보인 것에 비해 선방한 모습이다.
코카콜라와 코스트코홀세일 등 다른 필수소비재 섹터 종목들도 각각 0.14%, -0.17%로 준수하게 수익률을 방어했다.
S&P500 필수소비재 지수는 같은 기간 0.93% 하락했다. 필수소비재 섹터는 식품과 음료, 가정용품 등 경기에 상관없이 꾸준히 수요가 들어와 대표적인 경기 방어주로 꼽힌다.

미국의 이동통신사인 T-모바일US과 버라이즌은 상호관세 부과 정책 발표 이후 주가가 각각 2.23%, 2.26% 하락했다.
헬스케어 업종의 경우 S&P500 헬스케어지수가 –5.12%의 수익률을 올리며 수익 방어 효과는 내지 못한 가운데 종목별로 차별화가 진행되는 모습을 보였다.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은 고령층 공공의료보험 취급 민간 보험사의 정부 보조금 지급률 인상 등 호재에 힘입어 상호관세 이후 14% 넘게 올랐다.
존슨앤드존슨도 –2.34%로 선방했으나 일라이릴리와 애브비는 각각 10%, 14% 넘게 떨어졌다.
증권가에서는 경기방어주 섹터 중에서도 필수소비재 섹터의 전망이 상대적으로 좋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성근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영향으로 소비자 가격 민감도가 고조되며 월마트, 코스트코, TJX 등에서 가성비 높은 소비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며 관세 정책으로 인한 고물가에도 유통·필수소비재 업체들이 유리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800달러 이하 소액 수입품의 관세와 세금을 면제하는 소액 소포 관세 면제 혜택(De-Minimis) 혜택이 없어지면서 일부 반사 수혜도 기대된다”며 “테무, 쉬인 등 중국 기업들의 수익 모델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통신 등 커뮤니케이션 업종에 대해 최보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대표적인 성장주 중에서도 관세 부담이 제한적인 업체의 비중이 높다”면서 “양호한 실적 발표 시 반등 여력이 높은 업종이라고 판단한다”며 1분기 실적 시즌에 맞춰 투자 매력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봤다.
다만 헬스케어 섹터에 대해서는 “관세 불확실성이 확대된 시기에도 외형 성장 기대감이 개선됐으나 4월에 추가적인 의약품 관세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며 아직 발표되지 않은 관세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중국 희토류 수출 중단에 ‘반사이익’ 국내 관련주 강세
-
2
PLUS K방산 순자산 6천억 돌파... “관세 무풍지대”
-
3
미래에셋자산운용, 디폴트옵션 펀드 설정액 업계 최초 1조원 돌파
-
4
퍼스텍(010820) 소폭 상승세 +3.06%, 3거래일 연속 상승
-
5
와이오엠(066430) 상승폭 확대 +14.41%, 3거래일 연속 상승
-
6
앱클론, 고형암 차세대 카티 치료제 개발 전력…치료 한계 극복 목표
-
7
오디텍(080520) 상승폭 확대 +15.95%, 3거래일 연속 상승
-
8
우정사업본부, 국내 부동산 코어 펀드 위탁운용사 숏리스트 ‘미래·코람코·하나대체운용’ 선정
-
9
가권지수(대만) 약보합 마감, ▼15.68P(-0.08%), 19,513.09P [장마감]
-
10
아바코(083930) 소폭 상승세 +3.44%, 3거래일 연속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