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피한다고 덜컥 미국 갔다간”…현지 공장 지을땐 ‘이것’ 피하라는데
이유진 기자(youzhen@mk.co.kr)
입력 : 2025.04.09 18:06:51
입력 : 2025.04.09 18:06:51
美 건설사 알버리시 정윤영 부사장
韓기업 현지공장 건설 지원
최저가만 따졌다가는 낭패
장기 파트너십 구축이 중요
韓기업 현지공장 건설 지원
최저가만 따졌다가는 낭패
장기 파트너십 구축이 중요

9일(현지시간)부터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국내 수출 기업은 새로운 과제를 맞닥뜨렸다.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세를 줄일 전략이 필요하다. 이 중 하나가 미국에 생산기지를 짓는 일이다.
미국 시공능력 순위 36위의 중견 건설사 알버리시는 한국을 8대 전략 시장으로 삼고, 미국에 공장 건설 수요가 있는 한국 회사들을 물색하고 나섰다. 최근 방한한 정윤영 알버리시 부사장(사진)은 “글로벌 대기업조차 생산시설을 지을 때 미국 현지 상황을 간과해 완공이 지연되거나 예산을 크게 초과하는 사례가 빈번하다”며 “공장 설립을 결정했다면 미국 건설 업계 관행을 숙지하고, 예산 수립 단계부터 실리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18년 설립된 알버리시는 국내 대기업과 스텔란티스가 합작해 세운 넥스트스타에너지의 캐나다 온타리오 전기차 배터리 공장, GM과 포스코 합작사가 캐나다 퀘벡에 지은 리튬이온 배터리 핵심물질(CAM) 생산기지 등 프로젝트를 담당하며 한국 기업들과 친숙하다.
미국에 공장을 지으려는 한국 기업 대부분이 한국과 미국의 관행 차이에서 오는 의사소통 오류를 경험한다고 한다.
정 부사장은 “상당수 기업이 한국에서 쓰던 설계도와 표준계약안을 가져오는데 미국은 건축 규제 등이 한국과 달라 설계 변경이 빈번하고, 이때마다 추가 비용이 들어가는 경우가 다반사”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 인건비나 물가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예산을 책정하는 것도 자주 저지르는 실수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실제 TSMC는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반도체 공장을 지으면서 당초 예산을 120억달러(약 17조원)로 잡았지만, 공기 지연 등 여파로 최종적으로는 200억달러(약 28조원)가 소요됐다.
반대로 환경규제 등 현지에서 중시하는 변수를 사전에 고려하면 예산초과 위험이 줄어든다. 한국수처리 전문기업 부강테크가 건설한 캘리포니아 플러튼의 풀무원USA 두부공장에서는 규제기관과 긴밀히 협의해 신규 폐수처리시설을 구축했다. 생산시설을 두 배로 늘려 폐수처리 비용도 이에 비례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으나, 오히려 비용을 절감한 사례다.
정 부사장은 공사 지연으로 인한 손실을 막기 위해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 ‘프리 컨스트럭션(pre-construction)’ 방식을 활용하라고 제안했다. 시공사를 정식 선정하기 전 현지 사정에 밝은 설계 업체나 시공 업체에 예산 수립을 맡기는 방식이다.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수억 원 비용이 들기도 하지만, 적게는 수백억 원에서 많게는 수조 원까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필수 단계라는 게 정 부사장의 조언이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해당 업체의 시공능력과 설계능력 등을 검증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정 부사장은 “기한 내 완공하면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식의 ‘윈윈’ 구조를 세우는 것이 좋다”며 “한국 건설시장의 관행인 최저가 입찰은 덤핑 입찰 후 추가 비용으로 이익을 확보하는 업체를 선택할 위험이 있으므로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미국 건설회사들과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맺을 수 있다면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관세 난리나도 K푸드는 못 끊겠다”…美·中 소비자들, 삼양식품·오리온에 ‘충성’
-
2
“심상치 않은 상황”…숨고르기 선택한 한은, “금리인하 했어야” 목소리도
-
3
울산시, 베트남에 사절단 파견…인적교류 확대 논의
-
4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5
대우건설, 투르크 1조원 비료공장 기본합의서 서명
-
6
서울시, 관광새싹기업 5곳 선정해 총 2억원 사업비 지원
-
7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매-세-지, 4월 18일)
-
8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9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7일) 주요공시]
-
10
서울시, 라오스에 '아리수 노하우' 전한다…수도시설 개선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