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업계, 수장 선임 완료…"신성장동력 발굴 주력"
한미사이언스·휴온스 등 대표이사 교체·재선임…"신약 개발·바이오 사업 강화"
유한주
입력 : 2025.04.06 06:00:02
입력 : 2025.04.06 06:00:02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유한주 기자 = 제약·바이오 업계가 대표이사를 교체하거나 재선임하며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한미사이언스[008930], HLB생명과학R&D, 차바이오텍[085660] 등은 정기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열고 신규 대표이사 선임을 마쳤다.
한미약품그룹 지주사 한미사이언스는 유한양행[000100] 출신의 김재교 대표이사를 선임했다.
그는 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로 내정돼 지난달 한미사이언스 부회장으로 입사했고, 지난주 사임한 송영숙 한미약품그룹 회장의 뒤를 이어 신임 대표이사 자리에 올랐다.
김 대표는 핵심 사업회사인 한미약품[128940]과 협력해 신약 개발에 주력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회사는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기반 비만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 면역 조절 항암 신약 'HM16390' 등을 개발하고 있다.
한미약품그룹은 김 대표 선임에 맞춰 기획전략본부, 이노베이션 본부를 신설하며 미래 사업 발굴에 주력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HLB생명과학R&D는 모기업 HLB생명과학[067630]의 김연태 부사장을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했다.
김 대표는 HLB그룹 최초의 여성 대표이사다.
2023년 HLB그룹에 합류한 그는 HLB생명과학 바이오사업부 부사장을 지내며 신약 개발 업무를 이끌어왔다.
김 대표는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과 높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최적의 병용 약물을 도입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차세대 표적 항암물질 개발에도 나선다.
김 대표는 이를 위해 파트너 기관인 독일 리드디스커버리센터(LDC)와 공동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차바이오텍은 최석윤 전 메리츠증권 고문을 부회장으로 영입해 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거쳐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40여년간 투자은행 업계에 종사한 최 대표는 크레디 스위스, 바클레이즈, RBS 한국 대표와 골드만삭스 한국 공동대표 등을 지냈다.
차바이오텍은 최 대표 영입을 통해 글로벌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사업화를 가속하는 등 연구개발(R&D) 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재선임된 제약·바이오 업계 대표도 적지 않다.
휴온스그룹의 주요 사업회사 휴온스[243070]의 송수영 대표는 지난주 주총에서 연임을 확정했다.
송 대표는 글로벌 경영 자문 법인에서 대표이사를 지낸 경력을 기반으로 지난 3년간 휴온스 및 휴온스글로벌[084110] 대표이사를 맡았다.
그는 이번 임기에 제천 2공장의 하반기 신규 주사제 생산라인 가동, 마취제 등 주사제 수출 품목 확대, 바이오의약품 사업역량 강화 등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유원상 유유제약[000220] 대표이사도 연임에 성공했다.
유 대표는 반려동물 사업 등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할 전망이다.
서정진 셀트리온[068270] 회장의 경우 대표이사는 아니지만 지난주 주총에서 사내이사로 재선임되며 경영 참여를 2년 더 이어가게 됐다.
앞서 서 회장은 2021년 경영 일선에서 스스로 물러났다가 2년 만에 리더십 필요성 등을 앞세워 사내이사·이사회 공동의장으로 복귀했다.
셀트리온 이사회는 서 회장이 "제품 개발, 생산, 판매 전략 등에서 탁월한 역량을 발휘했다"며 재선임 배경을 밝혔다.
주주 측과 갈등을 빚은 끝에 해임된 인물도 눈에 띈다.
자회사 제노스코의 별도 상장을 추진하며 '쪼개기 상장' 논란에 휩싸인 김정근 오스코텍[039200] 대표는 지난주 주총에서 재선임에 실패하며 해임됐다.
바이오 소재 기업 아미코젠[092040]의 신용철 회장도 사내이사에서 해임됐다.
아미코젠은 "회사 경영 방침과 부합하지 않는 지속적인 이견이 있었다"고 해임안 상정 이유를 밝혔다.
hanju@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美, 국내 최대 태평염전 소금 수입 차단…"강제노동 확인"
-
2
[속보] 백악관 "트럼프, 우크라전 휴전협상 고려해 러에 관세 부과안해"
-
3
[속보] 美국가경제위원장 "50여개국, 관세 협상하기위해 백악관에 연락"
-
4
“당신들이 뽑은 그가 당신들을 망쳤다”…기업 CEO들, 마러라고 몰려간 이유는
-
5
국민연금 주주대표소송 1호 나올까 촉각
-
6
美, 국내 최대 태평염전 소금 수입 차단…"강제노동 확인"(종합)
-
7
백악관 "50개국 넘게 협상 요청…美소비자에 관세 큰 영향 없어"
-
8
[속보] 美상무 "관세 부과 연기 없어…며칠, 몇주간 그대로 있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