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풍 부는 회사채 시장…"3월도 강할듯"
입력 : 2025.03.02 10:50:05
연초 기관 투자자의 적극적인 자금 집행으로 회사채 시장에 불었던 훈풍이 3월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일 연합인포맥스와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3년 만기 국고채와 회사채(무보증·AA-) 간 금리 차이인 크레딧 스프레드는 59.1bp(1bp=0.01%포인트)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말 68.8bp였던 것과 비교하면 10bp 가까이 축소됐습니다.
통상 1∼2월에 기관 투자자가 적극적으로 채권을 매수하는 '연초 효과'로 회사채 수요가 늘면서 국고채와의 금리차가 축소된 것으로 보입니다.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실제로 올해 들어 지난달 27일까지 국내 채권형 펀드로 8조943억원 규모의 자금이 유입됐습니다.
이 가운데 국내 회사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연초 이후 9천343억원 증가했습니다.
이 같은 자금 유입에 지난 두 달간 진행된 회사채 수요 예측에는 목표액을 넘는 매수 주문이 몰렸습니다.
김은기 삼성증권 연구원은 발행 시장에서 "1월보다 2월 수요 예측 경쟁률이 높아지고 발행 스프레드는 낮아졌다"면서도 "석유화학·유통 업종 및 BBB 등급에서 일부 미매각 물량이 발생하는 등 종목과 등급별 차별화가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증권가는 이 같은 크레딧 스프레드 축소 추세가 3월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 연구원은 "현재 크레딧 스프레드 레벨은 58bp 수준으로 작년 저점 42.1bp 및 코로나19 이후 저점 31.4bp 대비 높은 수준"이라며 "스프레드 레벨이 높아 작년과 같이 2월 말∼3월 초 일부 조정 국면에도 스프레드 축소는 5월 말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특히 그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는 5월과 8월에도 잇달아 인하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채권 자금이 유입돼 "4∼5월 크레딧 스프레드 축소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일 연합인포맥스와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3년 만기 국고채와 회사채(무보증·AA-) 간 금리 차이인 크레딧 스프레드는 59.1bp(1bp=0.01%포인트)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말 68.8bp였던 것과 비교하면 10bp 가까이 축소됐습니다.
통상 1∼2월에 기관 투자자가 적극적으로 채권을 매수하는 '연초 효과'로 회사채 수요가 늘면서 국고채와의 금리차가 축소된 것으로 보입니다.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실제로 올해 들어 지난달 27일까지 국내 채권형 펀드로 8조943억원 규모의 자금이 유입됐습니다.
이 가운데 국내 회사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연초 이후 9천343억원 증가했습니다.
이 같은 자금 유입에 지난 두 달간 진행된 회사채 수요 예측에는 목표액을 넘는 매수 주문이 몰렸습니다.
김은기 삼성증권 연구원은 발행 시장에서 "1월보다 2월 수요 예측 경쟁률이 높아지고 발행 스프레드는 낮아졌다"면서도 "석유화학·유통 업종 및 BBB 등급에서 일부 미매각 물량이 발생하는 등 종목과 등급별 차별화가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증권가는 이 같은 크레딧 스프레드 축소 추세가 3월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 연구원은 "현재 크레딧 스프레드 레벨은 58bp 수준으로 작년 저점 42.1bp 및 코로나19 이후 저점 31.4bp 대비 높은 수준"이라며 "스프레드 레벨이 높아 작년과 같이 2월 말∼3월 초 일부 조정 국면에도 스프레드 축소는 5월 말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특히 그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는 5월과 8월에도 잇달아 인하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채권 자금이 유입돼 "4∼5월 크레딧 스프레드 축소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관련 종목
08.04 15:3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뉴욕유가] OPEC+ 대규모 증산에 하락…WTI 1.5%↓
-
2
[사이테크+] "거대 육식공룡 무는 힘 천차만별…최강은 티라노사우루스"
-
3
[2보] 뉴욕증시, 고용 충격 딛고 하루만에 반등…나스닥 2%↑
-
4
[뉴욕증시-1보] 고용 충격, 금리인하 기대로 전환…급반등 마감
-
5
[1보] 뉴욕증시, 고용 충격 딛고 하루만에 반등…나스닥 2%↑
-
6
“코스피, 3000선도 버거워졌다”…돌변한 국내외 증권가, 회의론 쏟아낸 이유는?
-
7
트럼프, 美中관세휴전 연장·對러 2차관세 '결정의 시간' 임박
-
8
'인종주의 논란' 美패션광고에 트럼프 지원사격…회사 주가 급등
-
9
뉴욕증시, 금리인하 기대감 본격화…급반등 마감
-
10
군대에서 눈 치우다가 ‘번뜩’…폐기물로 연 매출 300억 낸 사장님의 아이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