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금리인하 기대감 본격화…급반등 마감

국제뉴스공용1

입력 : 2025.08.05 05:39:40
(뉴욕=연합뉴스)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급반등했다.

9월 금리인하 기대감이 더 강해지면서 7월 비농업 고용 결과의 충격에서 빠르게 벗어났다.



뉴욕증권거래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4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85.06포인트(1.34%) 뛴 44,173.6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1.93포인트(1.47%) 튀어 오른 6,329.94, 나스닥종합지수는 403.45포인트(1.95%) 급등한 21,053.58에 장을 마쳤다.

증시에 영향을 줄 만한 경제지표나 이벤트는 별달리 없었다.

지난주에 주요 경제지표와 기업 실적, 이벤트가 휘몰아쳤던 만큼 이번 주는 상대적으로 잠잠한 분위기다.

그럼에도 이날 주가지수가 동반 급반등한 것은 금리인하 기대감이 더 강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장 마감 무렵 메리 데일리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의 발언이 전해지면서 금리인하 기대감은 더 강해졌다.

데일리는 이날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7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동결) 결정은 안심됐지만 그와 같은 결정을 거듭하게 된다면 편안함은 덜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남은 기간 2회 금리인하는 여전히 적절한 분량의 금리 재조정으로 여겨진다"며 "금리인하를 2회보다 적게 할 가능성도 있지만 더 가능성 높은 시나리오는 우리가 더 많은 조치를 취해야 할 수도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에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94.1%로 반영했다.

전날 마감 무렵의 80.3%에서도 추가로 상승하며 금리인하를 기정사실로 하는 분위기다.

12월까지 기준금리가 3회(75bp) 인하된다는 베팅도 전날의 46.4%에서 데일리의 발언 후 51.2%로 튀었다.

2회 혹은 3회 인하 확률이 도합 90% 이상이다.

더블라인캐피털의 제프리 건들락 최고경영자(CEO)는 "경제 데이터가 약해졌음에도 연준은 올해 두 번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본 시나리오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CFRA 리서치의 샘 스토발 최고투자 전략가는 "오늘은 반등하는 날이라며 "주가는 하락 후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데, 바로 그런 상황"이라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다.

기술과 통신서비스는 2% 이상 뛰었고 소재와 의료건강, 유틸리티도 1% 이상 상승했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은 아마존을 제외하고 모두 강세였다.

엔비디아가 3.6% 올랐고 메타와 브로드컴, 알파벳도 3% 이상 올랐다.

마이크로소프트와 테슬라도 2%대 강세였다.

반면 아마존은 1.44% 밀려 반등 분위기를 즐기지 못했다.

인공지능(AI) 업계의 기린아 팔란티어는 이날 장 마감 후 예상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4% 이상 뛰고 있다.

팔란티어는 2분기 매출이 10억달러, 주당순이익(EPS)은 0.16달러를 기록했다.

LSEG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는 매출이 9억4천만달러, EPS는 0.14달러였다.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는 2분기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친 데다 자사주 매입이 올해 들어 중단됐다는 소식에 주가가 2.9% 하락했다.

디자인 소프트웨어업체 피그마는 주가가 27.38% 폭락했다.

지난달 31일 증시에 상장되며 하루에 250% 폭등했던 피그마는 이날 가파르게 되돌림이 일어났다.

의류업체 아메리칸이글은 백인 우월주의적 광고 논란에도 불구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개 지지한 데 힘입어 주가가 23% 폭등했다.

한편 트럼프는 "인도는 러시아산 석유를 엄청난 양으로 사들이는 데 그치지 않고, 그중 상당 부분을 국제시장에 되팔아 막대한 이익을 챙기고 있다"며 인도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이달 7일부터 인도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물릴 예정이다.

관세를 이보다 더 높이겠다는 것이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2.86포인트(14.03%) 떨어진 17.52를 가리켰다.

jhji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8.05 08:5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