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백악관, 트럼프 가자구상에 "관대한 조치·대담한 계획"
"팔 주민은 임시 이주"·"현재는 살만한 곳이 없다"…트럼프 옹호하며 진화
강병철
입력 : 2025.02.06 05:20:28
입력 : 2025.02.06 05:20:28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른바 가자지구 소유·재개발 발언을 놓고 대내외적인 비판과 반발이 확산하는 가운데 마이크 왈츠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이어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도 5일(현지시간) 관대한 조치라면서 이를 옹호했다.
이들은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영구 이주 발언과 달리 팔레스타인 주민의 인근 지역 이주가 임시적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과테말라를 방문 중인 루비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구상에 대해 "그것은 적대적인 조치로 의도된 것이 아니라 매우 관대한 조치이자 제안"이라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가자 지구를) 재건하고 재건 책임을 맡겠다는 제안"이라면서 "불발탄과 잔해 때문에 현재는 사람들이 다시 돌아와도 안전하게 살 수 있는 곳이 없다"라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한 일은 사람들이 다시 와 살 수 있도록 미국이 개입해 잔해를 치우고 파괴된 것과 불발탄을 치우겠다는 미국의 의사를 밝힌 것"이라고 해석했다.
다만 루비오 장관은 가자지구의 재건으로 되돌아와서 사는 사람들이 팔레스타인 주민인지 여부는 특정하지 않았다고 NYT는 전했다.
이와 관련,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대통령은 가자지구 재건 및 그곳에 있는 사람들의 임시 이주를 약속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곳은 철거 현장 같으며 수돗물도 없다"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그 주민들이 평화롭게 살기를 원하며 그는 대담한 새 계획을 통해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그는 가자지구에 미군을 투입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해서는 "그것은 가자지구 지상에 군대를 투입한다는 것도, 미국의 세금을 쓰겠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라면서 "그것은 지구상 최고의 협상가인 트럼프 대통령이 역내 파트너들과 협상을 타결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할 때는 아무것도 배제하지 않는다"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렛대를 유지하고 싶어 하기 때문이며 그것이 지금 그가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 대한 사전 서면 계획이 있었는지를 묻는 말에 "어젯밤 대통령이 발언해 세상에 알리면서 그 계획은 쓰인(written) 것"이라고 답했다.
마이크 왈츠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이날 오전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 대해 "대담하고 신선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재건된 가자지구에 누가 살게 되느냐는 질문에 "팔레스타인 사람들과 아마도 많은 사람"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미국의 대(對)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정책인 '두 국가 해법'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종료됐다고 언급하지 않았다면서 유효하다는 취지로 답변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정상회담을 진행한 뒤 개최한 공동 기자회견에서 가자 지구 내 팔레스타인 주민을 인근 국가로 이주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힌 뒤 "미국이 가자지구를 장악할 것(take over)"이라면서 가자지구를 미국이 소유해 해안 관광 도시로 개발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에 대해 중동 국가는 물론 서방 국가도 강하게 비판했으며 미국 민주당도 "사실상 인종 청소"라고 공세를 벌였다.
나아가 앨 그린 민주당 하원의원(텍사스)은 탄핵소추안도 발의하겠다고 공언했다.
solec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고급 해산물 대표주자였는데”…10년새 반값으로 떨어진 이것, 왜?
-
2
AI 거센 파도, 올라탈까 피할까…'인생 이모작' 갈림길
-
3
미트박스,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4
[팩트체크] 로또복권은 현금으로만 구입할 수 있다?
-
5
전일 4분기 실적 발표 주요 기업(2025.02.05 발표)
-
6
"고령화에 가계부채 감소 전망…총량관리, 자원배분 왜곡 우려"
-
7
당일 4분기 실적 발표 예정 주요 기업(02.06 발표 예정)
-
8
개장전★주요이슈 점검
-
9
주요 기업 영업이익 예상치 및 실적 발표 일정 (2024년 4분기, 2025.02.06 기준, 연결)
-
10
미국 테마시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