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美의 관세부과 한 달 유예…마약·총기밀매 억제 노력"(종합)
셰인바움 대통령, 기자회견서 공식 발표…"북부 국경에 軍 1만명 투입"'25% 관세 시행' 13시간여 앞두고 '일단 합의'…멕시코 페소화 강세 전환
이재림
입력 : 2025.02.04 01:21:17
입력 : 2025.02.04 01:21:17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당초 오는 4일(현지시간)부터 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조처를 한 달간 유예하기로 멕시코 정부와 합의했다고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이 3일 밝혔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미국의 관세 부과 조처 시행을 13시간여 앞둔 이날 오전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 "오늘 저는 트럼프 미 대통령과 서로 존중하는 분위기에서 긴 시간 통화한 끝에 일련의 합의에 도달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관세는 지금부터 한 달 동안 유예한다"면서 "멕시코는 미국으로의 마약 펜타닐 밀매를 차단하기 위해 1만명의 국가방위대원을 국경에 투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국은 또 멕시코로의 고성능 무기 밀매 억제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고 멕시코 대통령은 강조했다.
양국은 이어 이날부터 보안과 무역이라는 두 가지 분야에서 협상을 시작하기로 했다고 셰인바움 대통령은 덧붙였다.
멕시코 대통령은 그간 미국의 25% 관세 부과에 대응해 "플랜 A, B, C를 준비 중"이라면서, 미국 정부와의 대화를 통해 관세 조처를 피해 가는 것을 주요 목표(플랜 A)로 삼고 있다고 피력해 왔다.
이에 여의치 않을 경우 보복 관세 부과 또는 국제 분쟁화 등 시나리오별 행동 전략을 시행하겠다는 점도 시사해 왔다.
멕시코 공휴일(제헌절) 임에도 이날 회견 개최를 예고했던 셰인바움 대통령은 환하게 웃는 얼굴로 회견장에 들어와 "엑스 글을 봤느냐"고 운을 떼며 "좋은 합의였다"고 말했다.
그는 "저는 (유예 기간인) 한 달 안에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는 멕시코의 국경 보안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언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향후 대화 기조를 유지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덧붙이면서 "일정은 미정이지만, 상호 관심 주제를 다루게 될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멕시코 대통령은 또 트럼프 미 대통령으로부터 '미국의 대(對) 멕시코 무역 적자폭을 줄이기 위해 (멕시코가) 노력해야 한다'는 의중을 전했는데, 이에 대해선 즉각 동의하진 않았다고 덧붙였다.
멕시코 경제부 자료를 보면 2023년 기준 멕시코는 미국을 상대로 2천347억 달러(328조원 상당)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멕시코 대통령 엑스 게시글 이후 외환 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현지 일간 엘피난시에로는 달러 대비 멕시코 페소화가 강세로 전환해, 1달러당 1% 가까이 떨어졌다고 보도했다.
앞서 이날 오전 로헬리오 라미레스 데라 오 재무장관은 '투자자와의 대화'에서 "멕시코는 재정적 충격을 흡수하고 글로벌 도전에 대처할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현 상황에서 멕시코는 투자자들에게 전략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목적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달러 대비) 멕시코 페소의 유연한 환율이 멕시코 거시경제 체계의 초석"이라면서 시장 불안감을 해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walde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에콰도르, 멕시코에 27% 관세 예고…"수지 불균형 심각"
-
2
오픈AI, AI 단말기·서버 칩에 로봇·양자 컴퓨팅도 개발?
-
3
트럼프 對멕시코 관세 유예에 비트코인 10만 달러선 회복
-
4
中 유엔대사 "딥시크, 美의 기술 봉쇄 효과 없다는 교훈 줘"
-
5
테슬라 주가, 관세전쟁·캐나다 보복 우려에 장중 5%대 하락
-
6
中유엔대사 "부당한 관세 WTO에 제소할것…불가피하면 상응조치"(종합)
-
7
트럼프 "중국과 24시간 내 대화할 것…합의 못하면 관세 올라가"(종합)
-
8
트럼프, 美국부펀드 설립 행정명령…"국부펀드에 틱톡 넣을수도"(종합)
-
9
與, 민생 행보…반도체특별법·경제 당정협 개최
-
10
오픈AI 샘 올트먼 방한…삼성·SK·카카오 전방위 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