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출 받기 어려워 진다”…정부, ‘가계 대출 관리’ 고삐 죄기로
박나은 기자(nasilver@mk.co.kr)
입력 : 2025.02.02 13:04:53 I 수정 : 2025.02.02 13:30:15
입력 : 2025.02.02 13:04:53 I 수정 : 2025.02.02 13:30:15
금융당국, 올해 가계대출 증가 속도 고삐
경상성장률 증가 범위 3.8% 내로 관리
은행별 가계대출 목표치 잠정 결정
다만 지방 대출·2금융권은 한도 늘릴 예정
경상성장률 증가 범위 3.8% 내로 관리
은행별 가계대출 목표치 잠정 결정
다만 지방 대출·2금융권은 한도 늘릴 예정
금융당국이 지난해부터 이어온 가계대출 관리 기조를 올해도 유지한다. 은행들의 정책대출 외 자체 가계대출 증가율을 지난해보다 낮게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경기 부진의 타격을 크게 받는 지방지역 대출에 대해서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지난해 대출을 줄였던 제2금융권의 경우 가계대출을 늘리는 등의 예외를 둘 방침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이달 가계대출 점검 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2025년 가계부채 관리 세부 방향을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은행들은 금융당국이 제시한 원칙에 따라 가계대출 목표치를 잠정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증가 범위인 3.8% 내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은행들의 자체 가계대출 절대 금액은 늘어날 수 있지만 증가 속도는 작년보다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지난해 8월 발생한 가계대출 쏠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올해는 금융권 전체를 대상으로 월별 가계대출 증가세를 관리할 계획이다.
실제로 지난해 말 정책대출을 포함한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141조원으로 전년보다 46조원 불었다. 2021년(71조8000억원) 이후 3년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이중 은행권 자체 대출만 25조7000억원이다.
또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인영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대 시중은행의 자체 가계대출은 전년 대비 14조6800억원 늘어 당초 은행들이 정했던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11조3569억원)를 29% 넘겼다.
다만 금융당국은 지방 대출 증가세와 제2금융권 가계대출에는 예외를 둘 전망이다. 우선 지방 대출과 관련해 은행들의 목표치 도달 여부를 산정할 때 인센티브를 적용해 반영 비중을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올해 경기 부진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경기 악화에 타격을 많이 받는 지방의 경우 목표치를 넘어서는 대출이 가능하게끔 허용해주는 것이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방은행은 가계부채 증가율이 경상성장률보다 조금 높을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또 2024년까지 대출을 3년째 줄여온 제2금융권에는 올해 대출 목표치를 지난해보다 늘릴 수 있게끔 관리할 계획이다. 경기 악화에 타격을 받는 서민들에게 자금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제2금융권에는 대출 한도를 늘려준다는 것이다.
제2금융권은 상호금융권을 중심으로 2022년 6조원, 2023년 27조원, 지난해 4조원 가계대출을 축소했다. 다만 지난해 4분기에는 10월 2조7000억원, 11월 3조2000억원, 12월 2조3000억원 늘어난 바 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한국증권금융, 대규모 인사·조직개편 “부서장 75% 교체”
-
2
김영록 전남지사 "무안국제공항, 10월까지 문 열 수 없을 듯"
-
3
KGM, 자동차부품 위탁업체에 부실 계약서 발급으로 시정명령
-
4
이번주 구글·아마존 등 美빅테크 실적 주목
-
5
“한국 수출 62조원 줄어들 수도”…트럼프 관세전쟁에 한국 ‘타격’
-
6
오세훈 "AI 인재 1만명 양성하겠다…3대 강국, 우리도 가능"
-
7
"한 번 충전으로 서울~부산 왕복하는 배터리 전극 개발"
-
8
“내 통장에 비상금이 90초면 ‘뚝딱’”…애매한 대출광고 ‘확’ 바뀐다
-
9
“미중 관세전쟁때 코스피 23% 빠졌는데”…내일 국내 증시 매도폭탄 나오나
-
10
[게시판] SKT, 갤럭시 S25 출시 기념 T데이 혜택 2배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