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향후 철강·알루미늄·석유·가스·반도체 등에도 관세"
"관세 막기 위해 加·멕시코·中이 할 수 있는 것 없다"…2월1일 강행 확인"관세 우려 금융시장 반응 걱정 안해…관세는 인플레 초래하지 않아"'EU, 우리를 매우 나쁘게 대우…향후에 관세 부과하겠다"
강병철
입력 : 2025.02.01 07:08:16
입력 : 2025.02.01 07:08:16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월 1일(현지시간)로 예정된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와 관련, "캐나다, 중국, 멕시코가 지금 관세를 막기(forestall)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진행한 언론과의 문답에서 "우리는 (협상에서) 양보(concession)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볼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고 로이터통신, NBC 뉴스 등이 보도했다.
그는 중국을 겨냥해 "그들은 엄청난 양의 펜타닐(일명 좀비 마약)을 보내 매년 수십만명을 죽이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캐나다와 멕시코를 겨냥, "그들은 이 독극물이 (미국으로) 유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앞서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내일(2월1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중국에 대한 10% 관세 부과를 시작하리라는 것을 확인(confirm)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 자리에서 향후 수개월 내에 철강, 알루미늄, 석유, 가스, 의약품, 반도체 등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다.
그는 원유와 가스에 대한 관세는 다음 달 18일께 부과될 것 같다고 언급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 대상이 되는 특정한 국가를 거명하지 않았으며 관세 부과 계획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그는 다만 25%의 관세를 예고한 캐나다로부터 수입되는 석유에 대한 관세는 10%로 낮추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관세 부과로 인한 비용이 때때로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관세 부과가 단기적인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그는 그러나 관세 부과에 대해 우려하는 금융시장의 반응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는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럽연합(EU)에 대해서도 "우리를 매우 나쁘게 대우했다"라면서 향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solec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부산 작년 오피스 공실률 18.1%…임대료도 내려
-
2
[속보] ‘이른 설’ 영향에 1월 수출 10.3%↓…16개월만 감소 전환
-
3
'세월호 후속선' 철수한 인천∼제주 항로에 화물선 투입 재도전
-
4
[속보] 1월 무역수지 18억9천만달러 적자…20개월만에 적자
-
5
[IPO챗] 올해 첫 '대어' LG CNS 다음주 코스피 입성
-
6
[속보] 1월 반도체 수출 전년대비 8% 증가…9개월 연속 100억달러↑
-
7
작년 충북지역 토지거래량 9만4천필지…전년比 2.6%↑
-
8
[2보] '이른 설'에 1월 수출 10%↓…일평균 수출은 7.7% 증가
-
9
[1보] '이른 설' 영향에 1월 수출 10.3%↓…16개월만 감소 전환
-
10
나주 이창동 일대 약 1천 가구 정전…대부분 복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