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과 거꾸로 가는 명품株…에르메스 급락, 루이뷔통 급등
김대은 기자(dan@mk.co.kr)
입력 : 2025.07.31 15:41:14
입력 : 2025.07.31 15:41:14
주요 명품 업체 실적과 주가 희비 엇갈려
에르메스는 가격 인상 효과에도 주가 하락
루이비통·구찌는 실적 부진에도 주가 상승
에르메스는 가격 인상 효과에도 주가 하락
루이비통·구찌는 실적 부진에도 주가 상승

주요 명품업체가 부진한 실적을 선보이는 가운데 간밤에 에르메스가 2분기 호실적을 발표했다. 하지만 경쟁사와 달리 주가는 되레 하락세를 보여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30일(현지시간) 에르메스는 2분기 매출이 39억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했고, 영업이익률도 41.4%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가격 인상 효과로 일본·미국·유럽·중동 등 전세계적으로 매출이 고루 성장한 덕분이다.
그러나 파리 증시에서 에르메스 주가는 하루 만에 4.54% 급락했다. 전반적으로 명품 시장 전체가 가라앉았고, 가죽제품의 호조세와는 달리 향수·뷰티, 시계 등 다른 부문에서는 매출이 뒷걸음질 쳤기 때문이다.
이는 앞서 실적을 발표했던 루이뷔통(LVMH)과 구찌(케링)의 경우와는 상반되는 흐름이다.
앞서 LVMH는 2분기 패션부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했고, 영업이익률도 22.6%로 낮은 수준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같은 부진은 명품업체 최대 시장인 중국을 중심으로 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영업이익률이 당초 증권가 예상치를 뛰어넘었다는 평가에 주가는 하루 만에 3.92% 상승했다.
또한 회사 측 재무책임자가 “부동산 위기를 겪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 명품을 향한 욕구가 명백한 개선을 보이고 있다”고 말한 것도 상승세에 영향을 끼쳤다.
구찌 등 패션 브랜드를 보유한 케링 역시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고 영업이익률 역시 12.8%로 뒷걸음질 쳤다.
구찌 단일 브랜드만으로 매출이 25% 감소한 것이 그룹 전체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실적 발표 이후 주가는 하루 만에 1.62% 올랐는데, 장중에는 5%가량 상승하기도 했다.
회사 측은 루카 드 메오 전 르노 최고경영자(CEO)를 영입하기로 했고, 앞서 영입한 디자이너 뎀나를 앞세워 구찌 전반에 걸쳐 다수 신제품을 선보이기로 한 덕분이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대한조선, 코스피 상장 첫날 공모가 대비 84% 급등
-
2
“기대했던 세제 개편안 실망”…외국인·기관 ‘쌍끌이 매도’에 3200선 붕괴
-
3
매수/매도 호가 잔량 급증 종목(코스닥)
-
4
매수/매도 호가 잔량 급증 종목(코스피)
-
5
아이에이(038880) 급등세 기록중 +21.58%
-
6
한화운용, 고배당주 주당 분배금 6.5% 인상…올들어 두 번째
-
7
인기검색 20종목
-
8
삼성운용, KODEX AI전력 ETF 2종 순자산 1조원 돌파
-
9
신라섬유(001000) 상승폭 확대 +8.87%, 3거래일 연속 상승
-
10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 채권혼합’ 주당 240원 월배당 지급, 커버드콜 ETF 중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