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마감시황
입력 : 2025.07.09 08:37:00
제목 : 뉴욕 마감시황
7/8(현지시간) 뉴욕증시 혼조, 다우(-0.37%)/나스닥(+0.03%)/S&P500(-0.07%) 트럼프 관세 발언 소화
이날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을 소화한 가운데 혼조세로 장을 마감.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각각 0.37%, 0.07% 하락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03% 상승.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관련 발언을 쏟아낸 가운데, 큰 변동성 없이 보합권내 지루한 흐름을 보임.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 시점을 8월1일 이후로는 연장하지 않겠다고 공언했지만, 그간 숱하게 말을 번복해왔던 만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모습.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게시한 글에 서 "관세는 2025년 8월1일부터 부과되기 시작할 것"이라며, "(기한) 연장은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힘. 전일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에 관세 서한을 보내는 한편 관세 부과 시점을 8월1일로 연기했으나 협상 상대방이 좋은 제안을 가져오면 관세 부과 시점이 더 미뤄질 수 있다고 말한 것과는 대조되는 발언임.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회의에서 기자들에게 “구리 관세를 50%로 설정할 예정”이라면서 의약품과 반도체에 대한 품목 관세 부과를 예고하기도 했음. 구리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점은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이에 시카고상품거래소(COMEX)에서 9월 인도분 구리 선물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13% 급등한 파운드당 5.6855달러에 마감. CNBC에 따르면, 이는 일일 기준 1989년 8월 이후 최대 상승폭이며, 장중에는 파운드당 5.8955달러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음. 한편, 반도체에 대해선 구체적인 관세율과 부과 시점 등이 발표되지 않았으나, 의약품은 최대 200%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고 언급.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5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 이날 뉴욕 연은이 발표한 지난 6월 소비자기대 설문(SCE) 결과에 따르면, 향후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0%로 전월대비 0.2%포인트 하락했음. 이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 지난 1월(3.0%) 이 후 가장 낮은 수준임. 향후 3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0%,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2.6%로 모두 전월과 동일했음. 한편, 전미자영업연맹(NFIB)이 발표한 6월 중소기업 낙관 지수는 전월대비 0.2포인트 하락한 98.6을 기록. NFIB에 따르면, 8개 기업 중 거의 1개가 6월에 ‘재고가 너무 많다’고 보고했으며, 향후 3개월 동안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는 사람의 비중은 전월의 10%에서 7%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경기 상황이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전월 25%에서 22%로 감소.
한편,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장 마감 무렵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연방준비제도(Fed)가 이달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95.3%로 소폭 상승했음. 9월까지 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은 34.1%로 다소 낮아졌고, 연말까지 연내 한번 인하에 그칠 가능성은 4.6%로 높아졌음.
이날 국제유가는 트럼프 관세 경고, 중동 긴장 등에 상승.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0.40달러(+0.59%) 상승한 68.33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관세發 인플레 우려 속 입찰 부담 등에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지속 속 소폭 상승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달러 강세 등에 하락.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우세한 가운데, 기술장비, 에너지, 재생에너지, 운 수, 화학, 제약, 자동차, 통신서비스, 소프트웨어/IT서비스, 의료 장비/보급, 경기관련 소비재, 경기관련 서비스업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식품/약품 소매, 금속/광업, 음식료, 유틸리티 업종 등은 부진한 모습. 종목별로는 시총 1위 엔비디아(+1.11%)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시가총액 4조달러에 바짝 다가섰으며, 인텔(+7.23%), AMD(+2.24%), 마이크론 테크놀로지(+3.75%) 등 여타 반도체 업체들도 대부분 상승.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 CEO 갈등 여파 속 부진한 흐름을 나타냈던 테슬라(+1.32%)가 반등에 성공했고, 애플(+0.03%), 메타(+0.32%) 등 일부 대형 기술주가 상승. 유가 상승 및 트럼프 대통령이 친환경 에너지 보조금 축소를 골자로 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는 소식에 엑슨 모빌(+2.77%), 셰브론(+3.96%), 옥시덴털 페트롤리움(+5.54%) 등 에너지 업체들이 상승한 반면, 선런(-11.43%), 퍼스트 솔라(-6.54%), 인페이즈 에너지(-3.58%) 등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주들이 하락. 2분기 실적 시즌을 앞두고 HSBC가 대형 은행에 대한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한 영향으로 JP모건체이스(-3.15%), 뱅크오브아메리카(-3.10%), 씨티그룹(-2.32%), 모건스탠리(-1.82%), 골드만삭스(-1.92%) 등 대형 은행들이 동반 하락.
다우 -165.60(-0.37%) 44,240.76, 나스닥 +5.94(+0.03%) 20,418.46, S&P500 6,225.52(-0.07%), 필라델피아반도체 5,641.22(+1.81%)
이날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을 소화한 가운데 혼조세로 장을 마감.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각각 0.37%, 0.07% 하락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03% 상승.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관련 발언을 쏟아낸 가운데, 큰 변동성 없이 보합권내 지루한 흐름을 보임.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 시점을 8월1일 이후로는 연장하지 않겠다고 공언했지만, 그간 숱하게 말을 번복해왔던 만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모습.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게시한 글에 서 "관세는 2025년 8월1일부터 부과되기 시작할 것"이라며, "(기한) 연장은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힘. 전일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에 관세 서한을 보내는 한편 관세 부과 시점을 8월1일로 연기했으나 협상 상대방이 좋은 제안을 가져오면 관세 부과 시점이 더 미뤄질 수 있다고 말한 것과는 대조되는 발언임.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회의에서 기자들에게 “구리 관세를 50%로 설정할 예정”이라면서 의약품과 반도체에 대한 품목 관세 부과를 예고하기도 했음. 구리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점은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이에 시카고상품거래소(COMEX)에서 9월 인도분 구리 선물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13% 급등한 파운드당 5.6855달러에 마감. CNBC에 따르면, 이는 일일 기준 1989년 8월 이후 최대 상승폭이며, 장중에는 파운드당 5.8955달러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음. 한편, 반도체에 대해선 구체적인 관세율과 부과 시점 등이 발표되지 않았으나, 의약품은 최대 200%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고 언급.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5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 이날 뉴욕 연은이 발표한 지난 6월 소비자기대 설문(SCE) 결과에 따르면, 향후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0%로 전월대비 0.2%포인트 하락했음. 이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 지난 1월(3.0%) 이 후 가장 낮은 수준임. 향후 3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0%,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2.6%로 모두 전월과 동일했음. 한편, 전미자영업연맹(NFIB)이 발표한 6월 중소기업 낙관 지수는 전월대비 0.2포인트 하락한 98.6을 기록. NFIB에 따르면, 8개 기업 중 거의 1개가 6월에 ‘재고가 너무 많다’고 보고했으며, 향후 3개월 동안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는 사람의 비중은 전월의 10%에서 7%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경기 상황이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전월 25%에서 22%로 감소.
한편,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장 마감 무렵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연방준비제도(Fed)가 이달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95.3%로 소폭 상승했음. 9월까지 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은 34.1%로 다소 낮아졌고, 연말까지 연내 한번 인하에 그칠 가능성은 4.6%로 높아졌음.
이날 국제유가는 트럼프 관세 경고, 중동 긴장 등에 상승.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0.40달러(+0.59%) 상승한 68.33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관세發 인플레 우려 속 입찰 부담 등에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지속 속 소폭 상승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달러 강세 등에 하락.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우세한 가운데, 기술장비, 에너지, 재생에너지, 운 수, 화학, 제약, 자동차, 통신서비스, 소프트웨어/IT서비스, 의료 장비/보급, 경기관련 소비재, 경기관련 서비스업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식품/약품 소매, 금속/광업, 음식료, 유틸리티 업종 등은 부진한 모습. 종목별로는 시총 1위 엔비디아(+1.11%)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시가총액 4조달러에 바짝 다가섰으며, 인텔(+7.23%), AMD(+2.24%), 마이크론 테크놀로지(+3.75%) 등 여타 반도체 업체들도 대부분 상승.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 CEO 갈등 여파 속 부진한 흐름을 나타냈던 테슬라(+1.32%)가 반등에 성공했고, 애플(+0.03%), 메타(+0.32%) 등 일부 대형 기술주가 상승. 유가 상승 및 트럼프 대통령이 친환경 에너지 보조금 축소를 골자로 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는 소식에 엑슨 모빌(+2.77%), 셰브론(+3.96%), 옥시덴털 페트롤리움(+5.54%) 등 에너지 업체들이 상승한 반면, 선런(-11.43%), 퍼스트 솔라(-6.54%), 인페이즈 에너지(-3.58%) 등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주들이 하락. 2분기 실적 시즌을 앞두고 HSBC가 대형 은행에 대한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한 영향으로 JP모건체이스(-3.15%), 뱅크오브아메리카(-3.10%), 씨티그룹(-2.32%), 모건스탠리(-1.82%), 골드만삭스(-1.92%) 등 대형 은행들이 동반 하락.
다우 -165.60(-0.37%) 44,240.76, 나스닥 +5.94(+0.03%) 20,418.46, S&P500 6,225.52(-0.07%), 필라델피아반도체 5,641.22(+1.81%)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