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PF 악몽 더는 안돼”...금감원 상반기 안에 52% 정리

이소연 기자(lee.soyeon2@mk.co.kr)

입력 : 2025.05.22 14:20:44 I 수정 : 2025.05.22 14:23:38
금감원, 부동산 PF 실적 브리핑
“하반기엔 우량사업장 신규대출”


건설이 진행 중인 부동산 단지 [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이 상반기 내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의 절반 이상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하반기부터는 우량 사업장에 대한 신규 대출 재개도 적극 장려한다는 계획이다.

금감원은 21일 “2024년 말 기준 PF 부실 규모 23조9000억원 중, 3월까지 9조1000억원(38.1%)이 정리됐다”고 밝혔다 .이어 “6월까지 3조5000억원이 추가로 정리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상반기 중에 전체 부실의 절반(52%)에 해당하는 12조 6000억원이 정리·재구조화될 것이란 얘기다.

금감원은 2분기에도 중대형 사업장 정리(1조6000억원), PF 정상화 펀드 매각(1조5000억원), 정보공개 플랫폼 활용(4000억원)으로 정리·재구조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500억원 이상의 중대형 사업장은 양해각서를 제출했거나 추가 자금조달계획 체결이 임박한 것으로 파악됐다. 저축은행중앙회를 중심으로 조성된 ‘4차 PF 정상화펀드’도 실사와 가격협의를 통해 추가 매각절차에 투입될 예정이다. 정보공개 플랫폼에 공개된 부실사업장에도 적극적인 매수 의사를 보이는 의향자가 있고, 수의계약 체결을 위한 가격협상도 진행 중이다. 금감원은 향후 정상화 작업이 더딘 개별 금융사에 대해선 현장점검이나 대손충당금 적립 지도 등을 이행할 방침이다.

아울러 금감원은 하반기 중 우량 사업장을 중심으로 신규 PF 대출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저축은행 등 금융사의 건설업계·PF 사업장에 대한 자금공급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의미다. 당국이 PF 대출 취급 자체에 부정적인 입장은 아니란 점을 명확히 한 셈이다.

한구 금감원 부원장보는 이날 “부실 정리의 근본적인 목적은 부실 자산을 우량 자산으로 갈아 끼우는 것”이라며 “정리가 빠르게 완료된 금융사는 새 우량한 PF 자산을 갖는 것이 맞는다는 입장을 수차례 말했다”고 밝혔다.

한편, 금감원은 향후 추가 부실 발생 가능성 등을 고려해 부실 정리·재구조화를 상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 부원장보는 “부실 정리가 미진한 개별 금융회사에 현장점검 및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유도하고, 향후 현장검사 등을 통해 PF대출 취급 과정상 미비점이 확인되는 경우 즉시 보완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2 18:4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