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증시 영향은 제한적 … 증권가 "美정부 향후 대응에 주목"

김정석 기자(jsk@mk.co.kr)

입력 : 2025.05.18 17:57:26 I 수정 : 2025.05.18 20:40:10
코스피 밸류에이션 부담 적고
예고된 이벤트에 파장 제한적




◆ 무디스 美신용등급 하향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피치에 이어 무디스마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면서 한국 증시에 미칠 파장이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미국 신용등급 하락이 부정적인 것은 분명하지만 예고된 단기성 재료여서 국내에 미칠 파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향후 미국 정부의 대응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향방이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신용등급 하락만으로는 과거와 같은 큰 충격은 없을 전망이다. 국제신용평가사인 피치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한 직후인 2023년 8월 2일 코스피는 1.9% 하락한 2616.47에 마감했다. 같은 날 코스닥 지수는 3.18% 하락률을 기록했다. S&P가 3대 국제신용평가사 중 가장 먼저 미국의 등급을 내렸던 2011년 8월 2일에는 코스피가 3.82% 떨어졌다.

하지만 이번에는 '예고된 강등'의 성격이 강하고 밸류에이션(평가 가치)도 낮아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 2011년 유럽 재정위기의 파고가 글로벌 증시를 덮친 상황에서 S&P는 미국의 부채 상한 증액 협상 타결에도 신용등급과 전망을 동시에 내렸다. 피치가 신용등급을 조정한 2023년에는 피치가 신용등급을 내리기 2개월 전에 먼저 전망을 조정하면서 증시에 미친 충격이 덜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에는 무디스가 1년6개월여 만에 '예고성 강등'을 했고 관세 불확실성도 완화된 상태"라며 "2011년과 2023년에는 코스피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배에서 0.9배 중후반이었으나 지금은 0.8배까지 내려와 밸류에이션 부담도 덜하다"고 말했다.

오히려 증권가에서는 중국의 경기 부양 의지와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더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장기적으로는 신용등급 조정보다는 실제 경제 펀더멘털과 각국의 정책 방향이 시장에 더 큰 영향을 준다"며 "미국의 지속적인 재정 적자와 이자 비용 증가 우려는 이미 시장에서 반영해왔던 리스크"라고 분석했다.

[김정석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9 00:1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