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국채 계속 줄인다…보유액 이번 세기 첫 세계 3위 하락(종합)

2013년말 이후 감소세…"美에 신용등급 강등 이은 추가경고"미중분쟁 반영 덜된 3월 수치…中, 대미협상 무기로 쓸 가능성
이신영

입력 : 2025.05.18 17:48:53 I 수정 : 2025.05.18 18:00:25


달러 등 화폐.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베이징·서울=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이신영 기자 = 지난 몇년 동안 미국 국채 보유량을 꾸준히 줄여온 중국이 미중 관세 전쟁이 격화하기 이전인 올해 3월 미 국채 보유 순위 3위로 내려온 것으로 나타났다.

18일(현지시간) 미국 재무부 자료에 따르면 3월 외국의 미 국채 보유량은 3개월 연속 증가해 사상 최고치인 9조495억달러(약 1경2천674조원)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중국 보유량은 7천654억달러(약 1천72조원)로 전월보다 189억달러(약 26조원) 줄어 1∼2월 보유량 증가세에서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로써 중국은 미국 국채 보유량 순위에서 3위로 내려갔고, 3월 미 국채 보유량을 290억달러(약 40조원) 늘린 영국(총 7천793억달러·약 1천92조원)이 2위로 올라섰다.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액이 영국보다 낮아진 것은 2000년 10월이 마지막으로 이번 세기 들어 처음이다.



[그래픽] 주요국 미국 국채 보유량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토일 기자 kmtoil@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X(트위터) @yonhap_graphics

2019년 말 중국을 제치고 미국 국채 최대 보유국이 된 일본이 올해 3월에도 1조1천308억달러(약 1천584조원)의 보유량으로 1위를 지켰다.

한국은 1천258억달러(약 176조원)로 18위였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의 미 국채 보유량은 2013년 11월 1조3천160억달러(약 1천844조원)로 정점을 찍은 뒤 꾸준히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다.

2017년 말 1조1천840억달러(약 1천659조원), 2018년 말 1조1천240억달러(약 1천575조원)로 꺾인 이후 2022년 말에는 8천670억달러(약 1천127조원), 2023년 말 8천160억달러(약 1천143조원)로 줄었고, 작년 말에는 7천590억달러(약 1천63조원)까지 떨어졌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 감소가 미국에 대한 무디스의 국가신용등급 강등에 이은 경고음이라고 분석했다.

투자은행 나티시스의 알리시아 가르시아 헤레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은 느리지만 꾸준히 미국 국채를 매각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에 대한 경고"라며 "이런 경고는 수년 전부터 있었으며 미국은 진작 조치를 취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특히 이번 수치가 3월 말 기준으로 지난달 미중 무역전쟁 격화 이후 중국이 취한 조치가 반영되지 않은 점에 주목하고 있다.

브래드 세터 미국외교협회(CFR) 수석연구원은 "눈에 보이는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이 미국 채권 포트폴리오의 만기를 단축한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지난 6주간 중국의 비축량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나야 더 명확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SCMP도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 감소가 미중 무역 전쟁에 대응해 중국이 국채 자산을 협상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와도 맞물려 있다고 짚었다.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후 미 국채 시장이 출렁이자 혼란의 배후에 중국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이 나온 것도 이런 우려와 무관치 않다.

FT는 중국이 제 3자 수탁기관을 통해 미국 자산을 보유하는 비중을 늘리고 있어 실제 보유 자산의 규모는 모호하다고도 언급했다.

또 영국의 보유액 증가에 대해서도 영국 정부가 미국 국채를 사들였기 때문이 아니라 글로벌 금융 중심지로서의 런던의 역할 때문이라는 해석을 달았다.

중국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을 역임한 위융딩 사회과학원 학부위원은 지난 15일 중국 매체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리스크가 커진 상황에서 미국 달러 자산, 특히 국채를 보유한 외국 투자자는 미국 부채의 사실상 디폴트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수 있다며 "중국은 해외 자산 안전을 지키기 위해 반복적인 시나리오 계획을 통해 일련의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한 바 있다.

xing@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9 00:18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