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주간전망] 무역협상 추이·감세안 통과 주시

국제뉴스공용1

입력 : 2025.05.18 07:00:00
(뉴욕=연합뉴스)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이번 주 뉴욕증시는 미국과 주요국 간 무역협상 추이에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이 중국과 향후 90일간 대부분의 관세를 인하하기로 합의했으나 관세 불확실성은 여전한 만큼 미국과 주요국 간 무역협상 진척 정도가 중요 변수로 예상된다.

뉴욕증권거래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주 미국 증시의 주요 주가지수는 뜨거웠다.

나스닥종합지수는 7.15% 급등했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5.27%, 다우산업평균지수는 3.41% 뛰었다.

S&P500은 5거래일 연속 강세를 이어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6일 "앞으로 2~3주 안에 스콧(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하워드(러트닉 상무부 장관)가 서한을 보낼 것으로 생각한다"며 몇 주 안에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를 책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과 일본, 인도와의 무역협정이 곧 나올 수 있다고 시사했다.

뉴욕 증시는 미·중 무역협상 결과와 주요국 간 협정 체결 기대감에 강세를 보였다.

그런 만큼 무역협상에 추가 진전이 없거나 있더라도 결과물이 실망스럽다면 증시는 최근의 강세를 이어가기 어려울 수 있다.

아메리프라이즈파이낸셜의 앤서니 사글림베네 수석 시장 전략가는 "투자자들이 주가를 더 끌어올릴 수 있다고 믿을 만큼 긍정적인 무역 관련 뉴스가 계속 나와야 한다"며 "지금 주가는 다시 비싸졌고 과매수 구간에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S&P500 지수는 지난주 미·중 합의 발표 후 올해 들어 수익률이 플러스로 전환됐다.

또한 지난 4월 2일 트럼프의 관세 발표 이후 약세장(전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에 진입하며 기록했던 손실도 모두 회복했다.

이번 달 들어 S&P500 지수는 약 7% 상승했다.

주가 반등은 빅테크들이 이끌었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 중 엔비디아와 테슬라는 이번 달 각각 24% 넘게 올랐고 메타 플랫폼스와 마이크로소프트는 16% 안팎으로 올랐다.

아마존 역시 11% 넘게 반등했다.

블리클리파이낸셜그룹의 피터 부크바 최고 투자 책임자는 "시장은 단지 관세 이전 상태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는 것 같지만 나는 세상이 이미 바뀌었다고 본다"며 "이 수준이 지속되긴 어려울 것이고 이번 랠리는 이해되지만 계속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주 증시를 크게 움직일 만한 핵심 지표나 이벤트는 예정돼 있지 않다.

다만 트럼프가 추진하는 감세 법안이 의회에서 처리될지 여부는 시장이 주목할 수 있다.

앞서 16일 공화당의 세제 법안에 대해 연방 하원 예산위원회가 표결을 진행한 결과 찬성 16표, 반대 21표로 법안은 부결됐다.

공화당 내 강경파들이 메디케이드(저소득층 의료보험)와 다른 정부 프로그램의 추가 삭감을 요구하며 민주당 의원들에 동참한 결과다.

이날 부결된 법안은 개인 소득세율 인하,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표준소득공제와 자녀 세액공제 확대 등의 기한 연장을 담고 있다.

해당 조항들은 지난 2017년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도입된 감세법에 따라 도입됐다.

이번 감세 법안의 목적 중 하나는 이 조항들의 연장이다.

다음 표결은 이르면 이번 주에 있을 예정이다.

캔터피츠제럴드의 에릭 존스턴 최고 주식 및 거시 전략가는 "이것은 채권 시장에 큰 리스크"라며 "조정 법안은 적어도 현재의 재정 적자를 유지하거나 오히려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존스턴은 "경제 성장 둔화와 유가 하락이 채권 시장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전반적으로 보면 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말했다.

지난주 10년물 미국 국채금리는 일시적으로 4.5%를 상회했다.

이 레벨을 유의미하게 넘어가면 시장은 부담을 느낄 수 있다.

이번 주에는 소매업체들의 실적 발표가 이어진다.

지난 4월 소매판매도 3월 대비 증가율이 크게 꺾였고 5월 소비자심리지수도 악화한 만큼 소매업체들의 실적은 소비 심리를 가늠할 수 있는 또 다른 지표가 될 것이다.

부크바는 "소매업체들의 실적은 소비자 지출의 상태뿐 아니라 관세를 최종 소비자에게 얼마나 전가하고 있는지도 판단하는 데 중요하다"며 "우리는 가격 인상이 다가오고 있다는 걸 알고 있지만 공급망 내 어디에서 그 부담을 감수할 것인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주요 일정 및 연설 - 5월 19일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연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 필립 제퍼슨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부의장 연설 4월 콘퍼런스보드(CB) 경기선행지수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연설 - 5월 20일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 연설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연설 홈디포, 팔로알토 네트웍스 실적 발표 - 5월 21일 5월 EIA 원유·휘발유 재고 타겟, TJX, 로우스 실적 발표 - 5월 22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5월 S&P글로벌 제조업 및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 4월 기존주택 판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 - 5월 23일 4월 건축 허가건수 4월 신규주택 판매 리사 쿡 연준 이사 연설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연설 jhji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8 12:56 더보기 >